“어차피 적자지만 다시 문을 열 수밖에 없습니다.”
경기도 포천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오모(61)씨는 3주 간 휴업을 마치고 지난 6일부터 영업을 재개했다. 지난해만 해도 하루에 60~70명이 찾아왔지만 8일 이곳을 방문한 고객은 10명 정도에 불과했다. 그래도 그는 영업 재개를 강행했다. 오씨는 “임대료, 전기료 등 고정비용 때문에 문을 열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대가 비싼 서울 서초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지인은 고정비용만 한달에 1000만원 넘게 지출하고 있다고 한다. 헬스장을 운영하는 다른 지인들도 앞으로 휴업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가 당초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으로 발표한 지난 5일까지 휴업에 동참했다가 영업을 재개하는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다.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 발생하면서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을 19일까지 연장했지만, 많은 자영업자들은 휴업을 연장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설상가상으로 영업을 재개해도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비해 손님이 대폭 줄어 생계난이 해소되지 않는다며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
서울 동작구에서 노래연습장을 운영하는 A씨는 지난주부터 자발적으로 휴업했지만 이날 문을 다시 열었다. A씨는 “정부 취지에 동참하자는 의미에서 휴업했지만 생계 때문에 어쩔 수 없다”며 “손님이 반 넘게 줄어도 소득이 아예 없는 것보다 나으니 영업을 재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에서 PC방을 운영하는 안모씨도 “구청에서 휴업을 권고했지만 불가피하게 영업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3시쯤 100석 넘는 이곳을 채운 손님은 10명도 채 되지 않았다. 안씨는 “영업을 하고는 있지만 임대료, 인건비를 다 빼면 사실상 적자”라며 “반경 100미터 이내에 PC방이 3곳 더 있다. 휴업하면 손님들을 다 뺏기니까 적자를 감수하고라도 문을 열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서초구, 관악구 등 자치구들은 자발적 휴업에 동참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침을 내놓았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은 보조금을 받는 것 보다 영업하는 게 더 낫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에서 탁구장을 운영하는 B씨는 2주간 자발적 휴업을 마치고 영업을 시작했다. B씨는 “가뜩이나 1~2달 전에 비해 손님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다시 문을 열었다”며 “구청에서 보조금을 준다고 안내하는 건 봤지만 그렇게 보조금을 받아봤자 월세 내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