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전야제 32년 만에 무산…5월 기념행사까지 취소시킨 코로나19.

입력 2020-04-08 14:50

40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전야제와 주요 기념행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취소됐다. 5·18 기념행사의 절정인 전야제가 무산된 것은 30여년 만에 처음이다.
제40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전야제를 포함한 주요행사를 고심 끝에 갖지 않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취소된 행사는 그동안 수만 명의 시민들이 운집한 가운데 개최해온 전야제, 국민대회, 민주평화대행진, 청년마당, 민주기사의 날 버스·택시 차량 시위 재현, 오월캠핑촌 등이다.
5·18기념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전야제가 열리지 않는 것은 1988년 5월 이후 32년 만이다. 유족회와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3개 5월 단체들이 공안당국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자발적으로 시작한 전야제는 광주 구동 체육관에 이어 옛 전남도청 앞 민주광장, 금남로 등에서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로 꾸준히 개최됐다.
군홧발로 민주화운동을 짓밟은 5·18 당시를 재현하고 국가폭력에 저항한 대동정신을 각종 문화공연으로 승화시켜왔다. 5·18행사위는 40주년인 올해의 경우 동학혁명부터 촛불혁명까지 이어진 민중들의 시대정신을 담아 어느해보다 성대한 전야제를 가질 예정이었다.
행사위는 간선도로인 금남로를 가득 채울 만큼 해마다 많은 시민들이 모이는 대규모 행사여서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한 취소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 차원에서 전야제가 대폭 축소된 적은 있지만 전면 취소는 올해가 처음이다. 전야제 취소에 따라 다양한 체험부스로 꾸며지던 시민난장, 오월 풍물굿 등도 올해는 볼 수 없다. 다만 5월 3개 단체가 당시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식과 부활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한 채 최소 인원만 참석해 엄숙하게 치른다.
추모제는 5월17일, 부활 문화제는 5월27일 열린다. 대부분 문화·예술행사 역시 연기하거나 온라인 진행으로 대체한다. 보훈처가 주관하는 다음달 18일 정부 공식 기념식은 코로나19 방역기준에 맞춰 조촐하게 열릴 예정이다. 5·18행사위와 5·18기념재단은 대부분 기념행사가 취소됐지만 5·18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정신계승, 전국화·세계화 등을 위한 다양한 나눔 행사를 개발해 5월 정신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5·18상임행사위원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돼 전야제 등 대부분 행사를 취소했다“며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이지 않고도 5·18정신을 선양하는 온라인 토론회 등 다양한 사업을 찾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