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은 지난달 2일부터 31일까지 이뤄졌다. 상담관 13명은 이 기간 동안 일평균 400여명, 모두 합쳐 8500여명의 자가격리자들과 2200여 시간 동안 대화했다. 가족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게 된 사람들은 전화통을 붙잡고 울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자책했다. 상담사의 일은 살아있는 사람들을 다시 살아가게 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한 60대 여성은 “엊그제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며 오열했다. “목소리가 슬프게 느껴진다”는 상담관의 말에 이렇게 대답한 것이다. 박미현(48) 상담관은 “상담 중 ‘괜찮다. 그저 그렇다’는 목소리가 슬프게 느껴져 안부를 물었더니 남편이 돌아가셨다며 갑자기 울음을 터트리셨다”고 말했다.
몸이 편찮으셨던 노모를 떠나 보낸 자가격리자도 있었다. 그는 상담사에게 “어머니를 모시고 링거 맞으러 병원에 갔는데 거기서 어머니가 감염됐다”며 자책했다. 박 상담관은 “죄책감으로 괴로워하는 모습이 너무 안타까웠다”고 했다. 한 80대 여성은 수십 년간 함께 지낸 남편이 코로나19에 감염돼 세상을 떠나자 “왜 나만 살아 있느냐”며 울었다. 그는 자가격리자로 분류돼 남편의 장례식장에도 가지 못했다.
가족이라고는 단 둘뿐이었는데 홀로 남게 된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홀어머니와 함께 살던 한 여성이 그랬다. 둘 다 확진 판정을 받아 별도 격리됐는데, 어머니가 입원 하루 만에 세상을 떠났다. 전경옥(36) 상담관은 “이 여성분은 상담 과정에서 죄책감을 덜어내고 애통한 마음을 토해냈다”며 “이후 다가올 감정들에 대해 설명하고 추후 개인 상담을 받을 것을 권유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하는 내내 마음이 무거웠지만 적극적으로 상담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다행스러웠다”며 “이 여성은 마지막 상담에서 몇 번이고 감사하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정관신(58) 상담관은 “코로나19로 많은 분들이 불안과 우울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격려와 희망을 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전경옥 상담관은 “마음의 상처가 커져 있는 대구 사람들은 그동안 참았던 슬픔을 얘기했다”며 “‘가슴에 있던 돌덩이가 내려가는 것 같다’는 말에 가치 있는 일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