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가계 은행 대출이 ‘역대급’으로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9) 확산에 빚만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3월 말 기준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이 901조4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8조7000억원 늘었다고 8일 발표했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9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 상승했다. 이 중 대기업 대출은 10조7000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8조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 증가”라며 “대기업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중소기업은 정부 은행의 금융 지원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자영업자에게 51조6000억원 금융 지원을 하고 있고 주식 회사채 단기자금 등 금융시장에 48조5000억원 유동성 공급을 하기로 했다.
가정도 빚이 늘었다. 3월 말 은행권 가계대출은 910조9000억원으로 1개월 전보다 9조6000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최대다.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이 6조3000억원으로 크다.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에 따른 전세자금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 막차 수요가 몰린 탓으로 보인다.
한편 전날 국무회의 재무제표 결산 결과 국가부채는 1743조6000억원이었다. 전년보다 60조2000억원 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의 실적부진으로 국세가 당초 계획보다 1조3000억원 덜 걷힌데다 세입세출 외 지출이 10조5000억원 늘어났다. 이에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지수 역시 흑자였던 전년에서 지난해 12조원 적자로 전환됐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