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수출 기업을 위해 “36조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추가 공급한다”고 말했다. 또 17.7조 원 규모의 내수 보완방안, 민간 벤처투자에 2.2조 원 규모의 자금 공급 계획 등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4차 비상경제회의에서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거래 위축으로 타격이 극심한 수출기업들을 지원하는 대책을 마련했다”며 36조원 규모의 무역 금융 공급 계획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신용도 하락이 수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수출 보험과 보증을 만기 연장하여 30조원을 지원하며, 수출 기업에 대한 긴급 유동성도 1조원을 지원하겠다”며 “또한 세계적인 경기 부양 시점에 적극적인 수주 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5조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선제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급격히 얼어붙은 내수를 살리기 위해 추가적으로 17.7조원 규모의 내수 보완방안을 마련했다”며 “민간의 착한 소비 운동에 호응해 공공 부분이 앞장서 선결제, 선구매 등을 통해 3.3조원 이상의 수요를 조기에 창출하고자 한다”며 “중앙부처뿐 아니라 공공기관, 지자체, 지방 공기업까지 모두 동참하여 어려운 전국 곳곳의 상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악화로 결손기업이 증가하고 700만명 가까운 개인사업자의 피해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12조원 규모로 세 부담을 추가 완화하는 특별한 조치도 결정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우리 경제의 혁신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에 대한 맞춤형 대응방안도 마련했다”며 “저리로 자금을 추가 공급하고 특례 보증 신설과 함께 민간 벤처투자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 확대로 약 2.2조 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