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을 노리고 정부 지원 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잇따르자 금융감독원이 8일 소비자경보(주의)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6일 기준 해당 보이스피싱 피해는 10건으로 집계됐다.
그 중 대출 상환 명목으로 돈을 빼돌린 수법이 7건으로 가장 많았다. 신용등급 상향 작업비용을 내라는 사례 2건, 온라인 대출을 위해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깔게 해 돈을 뜯어낸 사례도 1건 있었다.
피해자 A씨는 기존 대출금을 모두 갚아야 저금리 정부 지원 대출을 받을 때 금리와 대출한도에서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기범의 말에 속아 450만원을 이체했다.
피해자 B씨도 신용등급을 높이면 더 많이 대출받는다는 말에 속아 따로 대출을 받아 2000만원을 사기범에게 넘겼다.
금감원은 ▲정부 지원 대출 관련한 기존 대출 상환 권유 ▲작업비용 이체 요구▲비대면 대출을 위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요구 등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대출금을 타인의 계좌로 보내 상환하라는 안내도 100% 사기에 해당한다.
정부 지원 대출은 금융회사 영업점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기술보증기금 등 정부 산하 기관의 지역센터에서만 진행된다.
보이스피싱을 예방하려면 지연인출, 지연이체, 입금 계좌 지정, 해외 IP(인터넷 프로토콜)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