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지원대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지만, 노인과 고령의 영세자영업자들은 정부 지원을 제대로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책 정보 대부분이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7일 오전 서울의 한 주민센터에는 서울시의 재난긴급생활비를 신청하려는 노인들의 발걸음이 줄을 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인터넷으로 신청해야 한다는 직원의 말에 발걸음을 돌려야했다. 서울 관악구에 사는 하모(78)씨는 “재난지원금 뉴스를 보고 주민센터에 왔는데 인터넷으로 신청하거나, 선거 끝난 후에 다시 오라고 하더라”며 “컴퓨터를 다룰 줄도 모르고, 자식들도 다 따로 살고 있어서 난감하다”고 말했다.
주민센터 관계자는 “온라인 신청을 할 줄 몰라 직접 찾아오시는 어르신들이 매일 5분 이상”이라며 “16일 이후에 방문 접수가 가능하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했는데, 이 사실을 모르고 왔다가 헛걸음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도 주변의 도움이 없으면 정부 혜택을 받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서울시 소속으로 독거노인 9명을 돌보고 있다는 한 재가관리사는 “독거노인들은 재난지원금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사람이 없어 이런 혜택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소개했다. 이어 “혹시 신청을 못하게 될까 싶어 직접 어르신을 모시고 나왔는데,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 노인처럼 지원금이 절실한 분들에게는 정부가 직접 신청하고 전달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소외계층인 노인들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코로나19 긴급 대출에서도 소외되고 있었다. 서울 영등포시장에서 축산물 도소매업을 하는 홍모(64)씨는 “아침 일찍 소상공인지원센터에 갔더니 사람이 너무 많아 한참을 기다렸다”며 “그랬는데 직원이 인터넷으로 사전예약을 하고 와야한다고 하더라”며 허탈해 했다. 이어 “인터넷을 제대로 쓸 줄 모르니 너무나 답답하다”며 “간신히 상담을 받긴 했는데, ‘신용등급이 좋으니 시중은행에 가시라’는 말만 듣고 왔다”고 덧붙였다.
인터넷 사용에 익숙한 청년 자영업자들이 도움을 주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영등포시장에서 과일가게를 하는 김모(35)씨는 “신정 철차가 복잡해 젊은 나도 한참 헤맸다”며 “대출에 필요한 서류 목록들을 정리해 주변에 알려주고 있지만, 필요한 서류가 계속 달라지고 절차도 복잡해 나이가 많은 분들은 대부분 대출 신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정우진 김지애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