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투표 역대 최저 23.8%…선관위는 자가격리 일시해제 검토

입력 2020-04-07 16:51
정세균 국무총리(가운데)가 7일 대전 중구 대전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한 모습. 이곳에서 정 총리는 소상공인 자금지원 방안 등을 점검했다.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15 총선 재외투표 투표권을 가진 재외국민 17만1959명 중 4만858명이 투표에 참여했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23.8%로 2012년 19대 총선에서 재외투표가 실시된 이후 최저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는 코로나19 증상 등으로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된 유권자들을 위해 일시적으로 자가격리를 해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재외투표는 지난 1~6일 각국의 85개 공관, 91개 투표소에서 진행됐다. 재외투표지는 외교행낭 등을 통해 국내로 들어온다. 이어 선관위에 인계된 뒤 등기우편으로 관할 선관위에 보내져 국내투표지와 함께 개표된다. 앞서 선관위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 추세를 감안해 55개국 91개 공관의 재외 선거사무 중지를 결정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귀국투표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참정권을 행사해 달라”고 말했다.

국내에 돌아와 투표하겠다고 신고한 재외선거인은 1600여명으로 집계됐다. 20대 총선 당시 귀국투표 신고자는 358명에 불과했다. 재외선거 투표율은 19대와 20대 총선에서 각각 45.7%, 41.4%로 집계됐다. 18대, 19대 대선 당시 재외선거 투표율은 각각 71.1%, 75.3%로 나타났다.

선관위는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과 협의를 거쳐 자가격리 해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자가격리 중인 유권자들이 각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교통수단 등으로 이동해 별도의 투표소에서 투표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선거일 중 자가격리 해제 시간을 정한 뒤 다른 유권자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한 상태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선관위는 또 코로나19 확진자를 치료하고 있는 생활치료센터에 오는 10∼11일 특별사전투표소를 운영키로 했다. 특별사전투표소는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지역 8개 생활치료센터에 설치된다. 코로나19 확진자뿐 아니라 의료진 등 900여명이 이곳에서 투표할 수 있다. 선관위는 특별사전투표 후 투표함과 회송용 봉투 등을 소독·멸균 처리한 후 개표할 예정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