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상생을 위한 광주형 일자리가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 노동계가 노사상생발전협정서 파기와 함께 향후 불참을 전격 선언한데다 임원들의 고액 연봉 책정을 둘러싼 논란까지 거세게 불거졌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지난 2일 광주형 일자리를 위한 협정서를 파기한다고 밝혔다. 민선 6기 이후 6년여 동안 공들여온 노사민정 대타협의 결과로 체결한 협정서를 노동계가 전면 무효화 한 것이다. 노사상생의 근간인 협약서 파기는 2018년 6월 현대차의 사업참여 의향서 제출과 지난해 1월 합작법인 투자협약 체결로 우여곡절 끝에 성사된 광주형 일자리가 중대 고비를 맞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는 한국노총 등을 설득하는 차원에서 오는 9일 광주시노사민정협의회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노동계는 요지부동으로 불참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협의회 전체 위원 25명 중 노동계 인사는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과 부의장 2명, 청년유니온 위원장 등 4명이다.
시는 광주형 일자리 첫 모델인 합작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들어설 빛그린산단 공사현장에서 개최될 협의회를 통해 협약 파기에 따른 후속대책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GGM도 8일 긴급 주주총회을 소집하고 합리적 대응방안을 세우기로 했다. 하지만 한국노총 등이 협의회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광주의 미래를 책임질 광주형 일자리는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노동계가 협조하지 않으면 GGM의 광주형 일자리 실현과 근로자 복지프로그램 운영 등에도 큰 차질이 우려된다.
한국노총 등은 협약파기 직전까지 합작법인 GGM의 노동이사제 도입과 임원 임금의 근로자 2배 이내 책정, 2대 주주인 현대차 추천 이사 퇴진, 시민자문위원회 설치 등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그런데도 GGM은 최근 23개 주주사가 참석한 가운데 합작법인 설립 이후 처음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 2억원, 부사장 1억8000만원의 연봉을 책정해 노동계와 지역사회의 눈총을 받았다. 내년 초 1000여명을 채용하는 광주형 일자리 근로자들이 받게 될 평균 3500만원 연봉에 비해 5배가 넘는 고액이기 때문이다.
GGM은 본부장급은 1억원, 팀장급은 경력에 따라 7000만~8000만원 안팎의 임금 수준을 설계한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형 일자리가 전제된 GGM은 당초 국내 완성차 업체 절반 수준의 적정임금과 주당 44시간의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협력 체계 구축, 노사책임경영 등을 공언해왔다. 한국노총 등은 이에 대해 광주형 일자리 협약식 이후 현대차와 광주시가 노동계의 희생과 헌신만을 강요해왔다는 입장이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비민주적 정치놀음으로 전락한 광주형 일자리에 고심 끝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GGM은 단순한 현대차 하청공장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