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후 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가 전국에서 50여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은 물론 연령대도 다양해 방역 당국은 종합적인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6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경북 봉화군 소재 푸른요양원 환자 7명이 완치 판정 후 격리해제 과정에서 재확진 판정을 받았다. 대구 지역에서도 18명이 다시 양성 판정을 받고 치료에 들어갔다. 이로써 전국의 재확진 사례는 총 51건으로 집계됐다.
재확진 환자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은 역학조사팀을 현지로 파견해 면밀한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재감염인지 재활성화인지 조사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시행할 것”이라며 “검체 검사와 함께 실제 전염력이 있는지 보기 위해선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분리배양되는지, 혈액 조사를 통해 항체가 얼마나 형성됐는지 등 복합조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격리해제 뒤 단기간에 다시 양성 판정이 나온 만큼 재감염보다는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됐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입원격리 중에도 주기적으로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시행하는데, 음성으로 전환됐다가 다시 양성으로 확인되는 사례들이 많다”며 “재활성화 쪽에 무게를 두되 격리 해제된 이후에도 PCR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경우에도 전염력이 어느 정도인지 복합적인 검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항체검사 결과 항체가 있는데도 PCR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가 있다”며 “면역이 어느 정도 형성됐는지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정 본부장은 “재확진 환자 연령대는 20대, 50대, 60대 등 다양하고 전체 시·도에서 (재확진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며 “(재확진) 환자들로 인한 2차 감염자 발생은 확인되고 있지 않지만, 관리를 강화해야 하는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