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입국자 자가격리 관리·지원이 주소지와 전화번호 등 정보 누락으로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심지어 한 가족 사이에서도 관리·지원이 제각각인 사례도 발견됐다.
유럽에서 온 내국인 의무 자가격리가 시행된 지난달 22일 유학생 이모씨는 영국 런던에서 귀국했다. 이틀간 법무연수원에서 격리검사를 마친 이씨는 이후 자가격리 마지막 날인 지난 5일까지 매일 관할 보건소 직원으로부터 전화로 발열 유무 확인과 “밖에 나가면 안된다”는 통지를 받았다. 이씨 여동생과 아버지도 지난달 23일 독일 베를린에서 귀국해 이틀간 법무연수원에 머문 뒤 2주간 자가격리를 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방역당국으로 문자 메시지를 단 한 통도 받지 못한 채 6일 자가격리를 마쳤다.
이씨와 이씨 아버지·여동생에 대한 지원도 천차만별이었다. 이씨는 영등포보건소로부터 생활수칙 안내문과 준수사항이 기재된 ‘자가격리 통지서’를 받았다. 라면, 손세정제, 즉석밥 등의 생필품도 지원받았다. 반면 이씨 여동생과 아버지는 통지서도, 생필품도 받지 못했다. 이씨가 보건소 직원에게 아버지와 여동생은 어떻게 되느냐고 묻자 보건소 측은 “곧 연락이 갈 것”이라고만 답했다.
이런 ‘방역 차별’이 발생한 원인은 이씨 여동생과 아버지의 정보가 출국과정에서 누락됐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영등포보건소는 “여동생과 아버지 주소지는 모두 공란으로 돼 있어 관할 격리자 명단에서 빠져 있었다”며 “여동생은 전화번호도 없고, 아버지는 관할 보건소가 인천 중구로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왜 누락이 됐고, 또 엉뚱한 관할 지역으로 넘어갔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도 원인을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이씨 아버지와 여동생은 결국 당국의 감시 없이 자발적으로 자가격리를 마쳤다. 두 사람에게 당국이 한 조치는 입국 당시 공항에서 자가진단 앱을 다운로드 받았는지 확인한 게 전부였다. 이씨는 “인력이 부족한지 관리가 너무 안 된다”며 “유학생들이 계속 밀려 올텐데 어떻게 대응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온라인상에는 출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자가격리자 관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진다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5일 태국 치앙마이에서 왔다는 한 여행객은 커뮤니티에 “격리자 격려품을 받았다”며 생필품 사진과 글을 올렸다. 댓글에는 “나도 해외입국자신고를 했는데 왜 아무 소식이 없냐”거나 “우리 보건소는 예산이 부족한 거냐”는 성토가 이어졌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