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경로에 대해 “외부인 유입보다는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직원이 외부에서 감염된 뒤 사무 공간에서 2차 전파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해수부 직원과 가족 등 관련 환자 39명의 코로나19 집단감염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를 전했다.
정 본부장은 “외부인 출입 내역과 감염 여부를 확인했을 때 외부인을 통해 건물 내 유입 가능성은 낮았다”고 말했다. 이어 “해수부 환자 발생 이전에 세종시 등의 지역사회 내에 확진자가 있었음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후 해수부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지역사회 선행환자들의 동선과 직원들의 동선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해수부에서는 지난달 10일부터 24일까지 총 39명이 확진됐다. 직원이 29명, 가족 7명, 기타 직원 3명이다.
해수부 최초 확진자는 지난달 3일 의심증상을 보였고 같은 달 1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기간에 4층을 중심으로 16명의 유증상자가 발생했다. 전수검사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4층 직원 219명 중 25명(11.4%), 5층 직원 294명 중 3명(1%)이 확진됐다.
방역당국은 바이러스 노출 시점을 2월 말로 추정하고 있다. 해수부 환자 중 신천지 교인이나 확진자의 접촉자는 없었다. 해외여행력과 대구 등 국내 특별관리지역을 방문한 이력 또한 확인되지 않았다.
정 본부장은 “추정 노출 시기 동안 환자 발생 부서 간 세미나, 워크샵 등 공통 활동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환자들의 근무환경과 근무특성을 고려했을 때 통상적인 근무 활동을 통해 부서 간 2차 전파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해수부 관련 무증상 감염자는 13명(33.3%)로 자가격리 대상자 및 그 가족에서 일부 추가환자가 발생했다. 방대본은 이들에 대한 임상경과 등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확진자 확인 후 전면적인 이동 통제 및 전수검사를 통해 다수의 무증상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했고, 해당 장소를 통한 추가 전파를 억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