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4월 기업자금 위기설’은 근거가 없으며 시장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6일 밝혔다. 또 채권시장안정펀드 관련 “여력이 생기면 일부 저신용등급 회사채 매입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발표한 공개 서한과 일문일답에서 “‘○월 위기설’ ‘○○기업 자금난’ 등 표현은 시장 불안이 커지고 해당 기업이 더 곤란해지게 할 우려가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기업자금 위기설도 사실에 근거한 주장이라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이러한 위기설이 반복적으로 등장했으나 지나고 보니 과장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 위원장은 채안펀드가 발행사와 운용사의 이견으로 첫날부터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펀드가 가동된) 2일 이후에는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 물량이 시장에서 소화되고 있다”며 “회사채나 기업어음(CP) 등의 시장 조달을 유도하기 위해선 (채안펀드가) 시장보다 좋은 금리를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은 위원장은 특히 채안펀드 매입 대상 관련 ‘망할 회사는 일찌감치 포기하고, 살릴 회사만 살린다는 거냐’는 질문에는 “저신용등급 회사채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확인했다. 그러면서도 “한국은행이 비은행 금융회사에 대한 대출을 지원할 경우 채안펀드의 부담은 경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여력이 생기면 저신용등급을 일부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일시적 유동성 문제로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막겠다는 게 확고한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항공업계 경영난과 관련해선 “항공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정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 관계부처와 정책금융기관 등과 대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며, 결론이 정해지는 대로 알려드리겠다”고 했다. 다만 각 사의 자본확충이나 경영개선 등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또 쌍용차 모기업 인도 마힌드라 그룹이 쌍용차에 신규자본을 투입할 수 없다는 결정을 밝힌 것에 대해선 “주주와 노사가 합심해 정상화 해법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마힌드라 그룹이 4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 계획 등을 밝혔다고 알고 있다”고 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