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아비간’ 비축량을 3배로 확대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안전성 논란에도 아비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도 사용하려는 의도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의 5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7일 확정할 경제 대책 원안에 아비간을 증산해 금년도 중에 200만명분을 비축한다는 계획을 반영했다.
아비간은 인플루엔자 치료용에 쓰이면 1인 투약량이 40정이다. 일본 정부는 현재 200만명분인 8000만정을 비축해 놓고 있으나 코로나19에 투약하는 양은 1인당 120정으로 일반 인플루엔자 치료보다 3배가 더 든다. 이에 따라 아비간 비축량 역시 3배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아비간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아비간은 시험관 연구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 임상시험을 시행한 데이터도 없다”며 “동물실험에서 태아 독성과 사망이 보고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약물”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의 31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료들 역시 아비간이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다는 증거가 부족하고 부작용도 우려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안전성 논란에도 아비간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공식 승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달 28일 “아비간을 코로나19 치료제로 승인하는데 필요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는 아비간을 미 식품의약처(FDA)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로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전화통화를 한 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미 정부에 일본으로부터 아비간의 기부를 받아들일 것을 압박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뛰어든 트럼프 대통령이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