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해 말 폐지 예정이던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연장하기로 결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보조금 제도를 2022년까지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중국 내 완성차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악영향을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지난 2월 중국 CATL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9.4%로 지난해 동월 20.7%에서 급감했다고 밝혔다. 중국 BYD의 시장 점유율도 12.1%에서 1.7%로 폭락했다. 반면 LG화학의 시장점유율은 13.5%에서 29.6%로 상승했고 삼성SDI의 시장점유율도 4.3%에서 5.9%로 높아졌다. SK이노베이션도 1.7%에서 4.4%로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사용량 순위 6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보조금 제도 연장에 대한 업계 반응은 엇갈린다. 국내 배터리 기업이 생산한 전기차 일부는 이미 보조금 제도의 수혜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중국 정부가 지정한 차량에 한정되는데 최대 전기차 가격의 절반까지 보조금 지급이 가능해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성장을 지원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2016년 이후 지난해 처음으로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이 전기차 보조금 추천 목록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제도 연장으로 다시 빗장을 걸어 잠그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다. 지난 3월에는 LG화학과 삼성SDI의 배터리가 사용된 전기차가 보조금 추천 목록에 올랐다.
국내 기업들은 올해 말 예정이었던 보조금 제도 폐지에 진검승부를 위해 중국 생산기지를 확충해왔다. LG화학은 올해 초 6GWh 규모의 난징 2공장의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그 외 7.2GWh규모의 1공장도 가동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전지업체 EVE와 추가 생산기지 설립을 추진 중이다. EVE에 따르면 20~25GWh 규모가 될 전망이다. 삼성SDI도 시안의 배터리 공장의 생산라인 증설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요 절벽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증대돼 긴장 상태”라고 밝혔다. 지난 2월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79.1% 감소한 31만대였다.
유럽의 전기차 수요 감소 가능성도 긴장 요인이다. 최근 유럽자동차제조협회, 유럽자동차부품공업협회, 유럽딜러협회 등은 EU에 자동차 1대당 이산화탄소 연평균배출량을 95g/㎞로 제한하는 규정을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산화탄소 연평균배출량 95g/㎞는 내연기관차량으로는 맞추기 어려운 기준으로 규정 시행과 함께 전기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