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이 한 확진자의 증언을 보도하면서 정부 대응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일본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검사에 소극적이라는 안팎의 비난을 받고 있다.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달 초 업무 때문에 유럽을 다녀온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일본 수도권 거주자 50대 여성의 증언을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 등을 방문하고 지난달 3일 귀국한 이 여성은 같은 달 13일 체온이 38도까지 오르고 요통을 느끼는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였다.
그는 지난달 14일 귀국자·접촉자 상담센터에 전화를 걸었으나 몇 번을 시도해도 연결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틀 뒤인 16일에서야 거주지 보건소와 겨우 통화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의 몸 상태를 들은 보건소 담당자는 “그 정도로는 검사할 수 없다”고 답했다. 할 수 없이 근처 내과 의원을 찾아간 여성은 CT 촬영을 거쳐 가벼운 폐렴이라는 진단을 받고, 의사 소개로 도보 15분 거리 대학병원에 갔다.
방호복을 입은 대학병원 의사는 “검사할 수 없다. 자택에서 몸 상태를 지켜보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이틀 뒤인 지난달 18일 대학병원 측은 “검사 기준이 바뀌어 검사할 수 있게 됐다”며 내원하라는 연락을 해왔다.
그러면서 “정면 현관으로 들어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서 오라”고 했다. 감염 의심자인 여성의 동선을 일반인과 구분하지 않은 것이다.
지난달 19일 대학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여성은 이튿날 전화로 양성 통지를 받았다. 보건소 측은 전화로 입원 가능한 병원을 소개하고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말라”고 당부했으나, 이동할 때 주의할 점 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지는 않았다.
이 여성은 남편의 차를 타고 이동해 입원했다. 증상은 미열 정도였기 때문에 약을 먹거나 치료를 받지 않았다. 여성은 ‘격리가 목적인 것 같다’고 생각했다. 몸 상태가 안정돼 지난달 31일 퇴원했지만 후각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여성은 발열 증상이 나타난 후 밀접 접촉한 이들이 누군지 보건소에 알렸다. 밀접 접촉자들은 보건소로부터 향후 2주 동안의 생활 방식에 관한 안내 연락을 받았지만,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원하더라도 코로나19 검사 대상이 되지 않았다.
이 여성은 “밀접 접촉자가 2주 동안 불안한 상태로 지내는 스트레스는 헤아릴 수 없다”며 “적어도 희망자는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생노동성 측은 밀접 접촉자 검사와 관련해 “증상이 있거나 고령자 및 지병이 있는 사람이면 검사할 수도 있다. 희망하더라도 전원 검사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요미우리가 보도한 여성의 증언에 비춰보면 일본의 코로나19 방역시스템은 상당히 느슨하다. 발열 등 증상이 있는데도 곧바로 검사를 받을 수 없을뿐더러 확진자 중 상당수가 무증상 감염자인데도 밀접 접촉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하지 않고 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