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제주 4·3의 해결은 ‘정의와 화해’의 길”

입력 2020-04-03 10:39
문재인 대통령은 3일 9시55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 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2018년 제70주년 추념식 이후 2년 만의 참석이다. 현직 대통령이 재임 중 두 차례 추념식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2020.4.3 utzza@yna.co.kr/2020-04-03 10:32:27/

문재인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4·3의 해결은 국제적으로 확립된 보편적 기준에 따라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잘못된 과거를 청산하고 치유해 나가는 ‘정의와 화해’의 길”이라고 말했다. 또 “4·3의 해결은 이웃의 아픔과 공감하고 사람을 존중하는 지극히 상식적이고 인간적인 태도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제주 4·3이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로 만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실의 바탕 위에서 4·3 피해자와 유족의 아픔을 보듬고 삶과 명예를 회복시키는 일은 국가의 책무”라며 “역사적인 정의뿐만 아니라 법적인 정의로도 진실을 구현해야 하는 것이 국가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4·3의 완전한 해결 기반인 배상과 보상 문제를 포함, 4·3특별법 개정이 여전히 국회에 머물러 있다”며 “더딘 발걸음에 대통령으로서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권과 국회에 4·3특별법 개정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며 “입법을 위한 노력과 함께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신속하게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측은 이번 참석의 의미에 대해 “4·3의 가치인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을 미래 세대에 전승하자는 취지”라며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회복하고 인권 신장과 국민 통합을 도모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이번 추념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규모가 대폭 축소됐다. 2018년에는 1만5000여명이 참석했으나 이날은 그 100분의 1에 해당하는 150명만 참석한 것이다. 참석자는 4.3 희생자유족회장 등 유족 60여 명, 4.3 평화재단 이사장, 4.3 실무위원회, 제주 지역사회 대표 등 유관단체 관계자, 원희룡 제주도지사, 정당 대표 및 원내대표 등이다.

추념식을 전후로 4·3 평화공원 모든 공간을 소독하고 행사장 출입 인원의 발열 여부를 확인하며 좌석은 간격을 넓혀 배치하는 등 방역 대책을 마련했다.

문 대통령은 2018년 “더는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진상조사 작업은 물론 유해발굴사업, 희생자 배·보상, 국가 트라우마센터 건립 등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에는 국방부 차관과 경찰청장이 사상 최초로 광화문 희생자 분향소에서 피해자들에게 사과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