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 추념광장에서 엄수된다. 제72주년을 맞는 추념식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라 역대 최소 규모로 치러진다.
이날 오전 10시 4·3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제주 전역에 울리는 묵념 사이렌과 함께 시작되는 추념식에는 4·3유족회와 4·3관련 단체 대표 등 150여명이 참석한다.
정부와 제주도는 코로나19를 감안해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등의 참석을 자제하도록 했다. 참석자 전원은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예방지침에 따라 2m의 거리를 두고 앉게 된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재단의 인터넷 홈페이지 ‘사이버 참배관’(http://jeju43peace.or.kr/kor/memorial/list.do)을 통해 온라인 추모를 받고 있다.
제주도교육청 등 각급 기관·단체 등도 온라인을 통해 희생자 추모에 동참하도록 하고 있다.
추념식은 대폭 축소됐지만 경찰의장대가 최초로 참석하고 헌화·분향해 희생자들을 기린다. 첫 순서로 생존자와 희생자 유족들의 제주4·3특별법 개정 염원을 담은 오프닝 영상이 상영된다.
또 행방불명인 표석, 너븐숭이 4·3기념관, 주정공장 옛터, 곤을동 잃어버린 마을 등을 담아 편집한 영상이 이어진다. 이어 송승문 제주4·3유족회 회장이 김수열 시인의 묵념사 낭독, 경과보고,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등에 대한 영상이 선보인다.
제72주년 추념식 유족 사연은 김대호(15·제주 아라중 2)군이 낭독한다. 김 군 지난 1월 22일 4·3평화재단이 개최한 ‘발굴 유해 신원 확인 보고회’ 당시 발굴된 고 양지홍 희생자 증손자다.
제주4·3 상징곡 ‘잠들지 않는 남도’ 역시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영상으로 제작해 제창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