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대 김태봉 총장 “이사회 직위해제 결정, 법적 대응할 것”

입력 2020-04-02 15:13

학교법인 창성학원 이사회가 전날 대전 대덕대 김태봉 총장을 직위해제한 가운데 김 총장이 “인사전횡으로 볼 수밖에 없는 이사회의 이번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 총장은 2일 내놓은 입장문에서 “이사회의 직위해제 결정에 따라 취임 1년여 만에 대덕대 총장 직무를 내려놓게 됐다”고 운을 뗐다.

앞서 대덕대의 재단인 학교법인 창성학원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김 총장의 직위를 해제했다. 이사회는 입학률 저하 및 구조조정 실패, 호봉제·연봉제 교직원들의 임금 문제 미해결 등을 이유로 김 총장의 직위해제를 결정했다.

김 총장은 “창성학원은 총장을 직위 해제하고, 계약직 직원인 평생교육원장을 총장직무대리 겸 대외부총장으로 임명했다”며 “기존 주요보직자인 처장급과 팀장 등 보직자 22명도 보직 해임했다”고 했다.

이어 “이사회는 또 정관을 개정해 총장 임기를 3년에서 2년으로 축소했을 뿐 아니라 직원 신규 채용, 승진 임용 등 인사권자를 총장에서 이사장으로 변경했다”며 “총장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이사장이 독단적인 권한을 휘두를 수 있도록 규정 개정을 단행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사회가 내세운 직위해제의 사유는 대부분 사실을 왜곡했거나 과장한 것이라고 김 총장은 주장했다.

자신이 취임하기 전부터 이미 대학 내에 문제들이 산재해 있었고, 이를 해결하려는 과정을 전혀 고려치 않은 채 총장 개인의 무능으로 폄하했다는 것이다.

그는 “취임 전부터 존재해 왔던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무시했을 뿐 아니라 총장에게 어떠한 소명기회도 주지 않았다”며 “오히려 이사장은 보직자 개편·교원승진 등의 안을 특별한 이유 없이 보류하는 등 총장이 정상적인 직무수행을 하지 못하도록 압박했다”고 말했다.

신입생 충원율 저하 문제의 경우 홍보 전담 직원 구성 및 총장이 직접 실시한 홍보활동, 장학프로그램 확대 등의 노력을 이사회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취임 직후부터 마련한 구조조정안을 이사회가 부결시켰음에도, 오히려 구조조정을 총장 문제로만 국한하는 행위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김 총장은 “2010년 이후 계속된 연봉제와 호봉제 교원의 해묵은 갈등을 현 총장이 촉발·심화시킨 것처럼 책임을 지우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처사”라며 이번 사태를 총장 권한을 침해하는 중대한 사건으로 보고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전 총장은 이날 오전 법원에 총장 직위해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