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 많은 4월에 산불 피해면적 45%가 사라졌다

입력 2020-04-02 13:47


건조한 바람이 부는 3월부터 5월까지 산불이 집중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강풍이 가장 많이 부는 4월에 산림피해 면적의 45%가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연평균 440건이며, 이로 인해 857ha의 산림이 사라졌다. 특히 지난해에는 연평균보다 1.5배 많은 653건의 산불로 예년의 3.8배 많은 3255ha의 산림이 불에 탔다.

전체 산불의 68%가 강원과 경기, 전남, 경북, 경남에서 발생했고 산림 피해도 88%로 가장 크다. 이 중 강원은 전체 산림 소실의 63%를 차지해 피해가 가장 컸다. 이는 강원 동해안의 지형적 특성과 맞물리는 높새바람과 양간지풍 영향이 크다. 푄현상은 습윤한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을 때 고온·건조해지는 현상으로 늦봄부터 초여름까지 영서지방에 주로 나타나며 이렇게 부는 바람을 높새바람이라고 부른다. 강원도 양양-고성 또는 양양-강릉 사이에 부는, 빠르고 고온 건조한 강풍(44m/sec)으로 해풍이 불지 않는 야간에는 서풍의 속도가 빨라진다.

산불은 오후 2시 전후의 낮 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진화 헬기와 인력의 투입이 제한되는 야간에 발생한 산불의 피해가 컸다.

정부는 산불 발생 시 주관 기관인 산림청을 중심으로 행정안전부, 지자체, 소방청 등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공조와 초동대응으로 소중한 인명과 재산, 산림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다할 계획이다. 산불 발생 초기부터 범정부 역량을 결집한 대응 체계가 신속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24시간 산불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강풍과 건조 특보가 동시에 발령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전국 2만여 명의 산불감시인력을 집중적으로 배치할 계획이다.

대형산불 위험이 높은 강원 동해안 6개 시·군 지역을 중심으로는 불법소각을 단속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또한 논·밭두렁 태우기 등 불법 소각 근절을 위해 소각산불 특별관리 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취약 시간대(일몰이후 등) 단속도 추진한다. 특히 청명·한식(4월4일~5일)을 전후로 성묘객이 집중되는 공원묘지 주변과 사찰, 무속행위지 등에서의 입산자 실화 예방을 위해 담당공무원 책임제를 실시한다.

아울러 산림청은 전국 산불진화 헬기 116대와 유관기관 헬기 52대를 포함한 총 168대의 헬기 지원체계를 모두 가동해 초기 대응에 나선다. 또한 강풍 등으로 헬기 지원이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적인 산불 진화 조직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투입해 24시간내 산불을 진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최근 건조한 날씨에 강풍까지 불면서 산불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고 있어 산불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산불 발견 시 즉시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