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4·16연대)와 4·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가 1일 서울 종로구 4·16연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총선에서 낙선시켜야 할 후보자 17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이들은 후보 17명에 대해 “각 정당의 공천관리위원회에 세월호 참사와 진실 은폐, 피해자 핍박에 책임이 있는 인물들을 공천에서 배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부적절한 인물들이 출마를 강행했다”며 “정당과 후보자들이 스스로 개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개탄하며 총선 낙선 후보자 명단을 발표한다”고 명단 공개이유를 밝혔다.
이들이 공개한 후보 17명은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를 비롯해 같은 당 후보 13명, 우리공화당 조원진 후보, 기독자유통일당 주옥순 후보, 친박신당 홍문종 후보 등의 이름이 올랐다. 서울 영등포을 지역구에 출마한 이정현 의원이 유일하게 무소속이었다.
그러면서 4·16연대 등은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상에서 해당 후보들을 심판하자는 문구가 담진 인증사진을 공유하며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4·16연대와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등 34개 시민단체는 영등포구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5개 생명안전과제를 발표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할 권리, 일하다 죽지 않을 권리, 피해자의 인권 보호, 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 모두가 안전하게 함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달라”며 “21대 국회에서 이 과제를 해결하라”고 말했다.
이어 “총선 선거 과정과 21대 국회 활동 4년 동안 국회의원들과 각 정당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일하는지 감시하고 평가할 것”이라며 “매년 그 결과를 공개하고 4년 후 투표를 통해 다시 책임을 지게 하겠다”고 밝혔다.
또 “모든 국민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위험에 처한 지금도 국회는 여전히 생명과 안전에 관한 법안 처리를 뒷전에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정치의 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발표한 15개 생명안전과제는 크게 ‘생활안전’과 ‘일터안전’ 분야로 나뉘었다. 생활안전 분야는 생명·안전 기본권 보장 및 피해자 인권 보장▲ 감염병 재난 예방 대응 체계 구축▲ 가습기살균제 등 생활화학품 피해예방 및 가해기업 책임강화▲ 공공교통 안전 강화▲ 먹거리 안전 강화▲ 탈핵 에너지 전환▲ 화학물질 안전 강화▲석면 안전 및 철거 관리 강화 등이다.
일터안전 분야 요구안은 위험의 외주화 금지▲모든 노동자의 산업안전보건법▲ 산재보험 적용▲ 산업기술보호법 개정 위험에 대한 알권리 보장▲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과로사 예방법 제정▲ 노동자·시민의 알권리와 참여보장 등이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