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경남지사“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 추진계획 보완해 실시”

입력 2020-04-01 13:06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 지원해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2일 “피해 국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긴급지원인 만큼 정부가 대상 선별 없이 전 국민에게 신속하게 먼저 지원하고 고소득자에 대해서는 추후 환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요청했다.

김 지사는 “모든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원해야 대상을 선별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공정성 시비를 줄일 수 있고 긴급 재난지원이라는 취지도 달성할 수 있다”며 “고소득자에게 일정 부분 환급을 받더라도 현재의 소득보다는 올해 말의 소득 기준으로 하는 것이 공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상 가구 선정과 관련한 가이드 라인 등 정부 계획이 나오는 데로 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 추진을 보완해 실시할 것”이라며 “경남은 중앙정부가 지급예정인 긴급재난지원금에 앞서 도의 재원으로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우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경남도는 정부지원과는 별도로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한해 30만∼50만 원의 재난긴급생활비(긴급재난소득)를 선별 지급하기로 했다.

한편 경남에서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6명이 추가돼 총 확진자가 101명으로 늘었다. 추가 확진자는 진주 혁신도시 내 아파트형 공장인 ‘윙스타워’와 관련해 4명이 추가됐으며 김해와 양산에서 해외 입국자 2명이 확진됐다.

보건당국은 윙스타워와 관련해 총 7명의 확진자가 나옴에 따라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해 접촉자를 확인 중이다. 윙스타워에서는 지난달 28일 첫 확진자가 나왔으며 총 25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옴에 따라 경남도는 정부가 2주간 시행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는 시점인 오는 5일 이후에도 일상 복귀가 쉽지 않다고 판단해 내주부터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접목한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한다.

생활방역체계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개인위생과 사회적 거리두기를 꾸준히 실천하면서도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형태다. 도는 코로나19 증상 발현 초기에 감염력이 강하고 비말을 통해 감염되는 점 등을 고려해 예방핵심수칙 5가지를 정하고 상황·장소별로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세부지침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세부지침별로 3~5개의 실천방안을 만들고, 마스크 착용과 소독법 안내 등과 관련한 별도 지침도 제공한다. 이 같은 생활방역은 국내 코로나19 환자 수를 현재 보건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억제하면서 국민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행된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