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트럼프 코로나19 이후 가장 침울한 톤”
벅스 조정관 “미국 10만∼24만명 사망 가능성”
“코로나19에 특효약 없다. 그저 생활습관”
파우치 소장 “코로나19 완화, 희미한 기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피해와 관련해 “앞으로 매우 매우 고통스러운(painful) 2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비 벅스 백악관 코로나19 조정관은 “(미국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정확히 따르더라도 미국 내 사망자 수가 10만명에서 24만명까지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언론 브리핑에서 “나는 모든 미국인들이 다가올 힘든 기간을 준비하기를 원한다”면서 “우리는 매우 힘든(tough) 2주를 지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것은 삶과 죽음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미국인들은 앞으로 30일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따르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인들은 터널 끝의 빛을 보기 시작할 것”이라고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아무것도 안 했다면 최대 220만명이 숨졌을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피해가 발생한 이후 가장 침울한 톤으로 말했다고 전했다.
벅스 조정관은 코로나19로 미국에서 최대 24만명까지 숨질 수 있다고 밝혔다고 CNN방송은 보도했다. 이 사망자 예상치는 베트남전쟁에서 사망한 미국인 숫자보다 많은 것이라고 CNN은 지적했다.
CNN은 보건 당국자들이 그 예상치를 받아들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으나 예상 수치가 코로나19가 대대적으로 확산될 경우 피해 규모를 드러낸 것이라고 전했다.
벅스 조정관은 미국인들에게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잘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미국 정부가 제시한 사회적 거리두기에는 10명 이상 모이지 않기, 불필요한 여행 금지, 음식점·바 등을 출입하지 않기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벅스 조정관은 “(코로나19에는) 특효약이 없고, 마술 같은 백신도 없다”면서 “그저 생활습관”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CNN 방송에 출연해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제로 완화 효과를 내고 있다는 희미한 기미를 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하루당 (확진자) 증가가 아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지 않는 것을 보기 시작했다”면서 “(증가 곡선이) 완만해질 가능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파우치 소장은 “나는 그것에 너무 많은 신뢰를 두고 싶지 않다”면서 “우리는 (상승 추세가 꺾이는) 전환점을 보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