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2월 중소기업 종사자 수 증가폭이 한 달 사이 반토막이 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음식점과 여행업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 대란이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고용노동부는 31일 이런 내용의 2020년 2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848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만3000명(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월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를 시작한 2009년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증가율도 역대 최저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브리핑에서 “2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는 감염병 위기경보가 1월 27일 ‘경계’, 2월 23일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처음으로 집계된 사업체 고용지표”라며 “코로나19의 영향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이하 사업체가 코로나19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91만명으로 6만5000명(2.3%) 증가했으나 30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는 1557만9000명으로 9만8000명(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30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폭은 전달(22만1000명)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특히 30인 미만 영세 사업체 종사자의 증가 폭은 11만명에 그쳐 전달(22만8000명)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업종별로 보면 호텔업을 포함한 숙박·음식점업 종사자가 120만8000명으로 5만3000명(4.2%) 급감했다. 여행업과 렌터카업을 포함한 사업시설·임대서비스업 종사자(113만2000명)도 1만2000명(1.0%) 감소했다. 공연업을 포함한 예술·스포츠서비스업(31만1000명)도 6000명(2.0%) 줄었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산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이다.
사업체 종사자 증감을 시·도별로 보면 종사자가 감소한 지역은 대구, 경북, 경남, 부산까지 4곳이었다.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1000명, 2000명 줄었다. 임 차관은 “앞으로 코로나19가 우리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광범위한 계층에서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추가적인 보완대책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코로나19로 중소기업 ‘직격탄’… 종사자 수 증가폭 반토막
입력 2020-03-31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