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욱, 민주당에 “DNA 검사 해 보자”…적자논란 정면 반박

입력 2020-03-31 09:37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인 최강욱(사진 오른쪽)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은 31일 더불어민주당과의 ‘적자 논란’과 관련해 “선거가 끝나면 DNA(유전자) 검사를 통해 한 번 확인을 해보자. 금방 확인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앞서 손혜원 열린민주당 최고위원은 ‘민주당의 효자’라고 열린당을 언급했다. 이후 민주당 측에서 ‘그런 자식 둔 적 없다’고 하자 이를 정면 반박한 것이다.

최 전 비서관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정 어려운 상황이 되면 통합해서 한 길을 가는 것도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열린민주당이 향후 대통령 국정운영에 부담이 되면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인 것 같은데 향후에 (민주당과) 전략적 결합과 연대 등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최 전 비서관은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아니라 열린당 비례대표로 출마하게 된 이유에 대해 “집권여당을 제가 배제한 적이 없고, 집권여당이 저를 싫다고 한 적도 없다”며 “지역구 출마 제의를 여러군데서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열린민주당에서 열린캐스팅이라는 과정을 통해 제 의사와 무관하게 추천받는 과정들이 있었고 상위순번에 제가 포함됐다는 연락을 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최 전 비서관은 총선에 출마하게 된 가장 큰 계기로 검찰개혁을 들었다. 그는 “언론이 검찰을 대하는 방식을 보면 검찰총장이 야당 총재”라며 “정부에 반하는 얘기가 일일이 기사가 되고 (검찰총장이) 아침마다 격노했다는 말들이 기사화되는데 대한민국 어느 정부 기관의 수장 중에 아침마다 격노한 게 기사가 되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기가막힌 상황을 시민께 알려야겠다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최 전 비서관은 최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시 윤석열 검찰총장 부부가 1호 수사대상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검찰총장이란 직분을 가진 사람은 공수처의 수사대상이다. 명백히 배우자도 포함된다”며 “그 배우자가 현재 재산형성 과정, 친정 어머니와 관계에서 여러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것이 범죄구속요건을 충족한다면 당연히 공수처가 수사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총장 장모에 대한 수사는 명백하게 부실했다”며 “향후 진행될 수사과정에서 불법 사실이 밝혀진다면 공수처 수사에 포함된다는 얘기였지 1호로 그 사건을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최 전 비서관은 민주당의 위성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번 신현영 후보가 과거 조국 전 장관의 딸인 조민씨를 비판했다는 것에 대해 최 후보는 “그 교수님이 의사 선생님 아니냐”고 반문하며 “시민의 입장에선 표현의 자유가 있는 것이니 그렇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꼭 그렇게까지 말씀하셔야 되나 싶은 생각은 있다”면서 “공직후보가 된 분에게 과거 지나가듯이 한 말을 갖고 사람 전체를 규정하고 더불어시민당의 정체성까지 규정하는 건 지나친 것 같다”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