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최근 북한 관련 발언에 대해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며 미국과의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북한은 30일 외무성 신임 대미협상국장 명의의 담화에서 “우리는 폼페이오의 이번 망발을 들으며 다시금 대화 의욕을 더 확신성 있게 접었다”며 “미국이 오랜 기간 우리 인민에게 들씌운 고통을 그대로 공포와 불안으로 되돌려 갚아주기 위한 우리의 책임적인 계획사업들에 더 큰 열의를 가지게 됐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25일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화상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G7을 비롯한 모든 나라는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 복귀하도록 단합해야 한다”며 “북한의 불법적 핵·미사일 개발에 대응해 외교·경제적 압력을 행사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고 말했었다. 북한은 이 발언을 문제삼은 것으로 보인다.
대미협상국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계를 언급하며 “세상은 조미(북·미) 수뇌들 사이의 특별한 개인적 친분 관계에도 불구하고 조미 관계가 계속 꼬여만 가는지에 대해 다는 잘 모르고 있을 것”이라며 “그 대답을 미 국무장관 폼페이오가 명백히 해줬다”고 말했다.
대미협상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코로나19 방역 협력을 강조한 사실도 언급했다. 그는 “한쪽에서는 대통령이 신형코로나바이러스 방역 문제와 관련해 ‘진정에 넘친 지원구상’을 담은 친서를 우리 지도부에 보내오며 긴밀한 의사소통을 간청한 반면, 국무장관이라는 자는 세계의 면전에서 자기 대통령이 좋은 협력 관계를 맺자고 하는 나라를 향해 악담을 퍼부으면서 대통령의 의사를 깔아뭉개고 있으니 대체 미국의 진짜 집권자가 누구인지 헛갈릴 정도”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조미 수뇌들 사이의 친분 관계가 아무리 훌륭하고 굳건하다고 해도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변화시킬 수 없으며, 미국이 제창하는 대화 재개도 결국은 우리가 가는 길을 멈춰 세워 보려는 유인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대미협상국장은 “우리가 수뇌들 사이의 친분 관계를 띄우는 데 유혹돼 작심하고 가던 길을 멈출 것 같은가”라며 “명백히 말해두건대 우리는 미국의 노림수를 어항속의 물고기를 들여다보듯 보고 있으며 때로는 미국이 원하는 쪽으로 움직이는 척도 하면서 미국의 속을 떠보곤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백악관에서 기침소리만 나도 그것이 누구의 기침소리이며 왜 그런 기침을 하는지 정확히 간파하고 있으며, 미국의 정책 두뇌진들이 창안해내는 계책들도 크게 품을 들이지 않고 타파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미협상국장은 “다시 돌기 시작한 격돌의 초침을 멈춰 세울 힘과 책략이 미국에 더는 없는 듯 싶다”며 “우리는 우리의 길을 갈 것이다. 미국은 때 없이 주절거리며 우리를 건드리지 말았으면 한다. 건드리면 다친다”고 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