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발 ‘가짜뉴스’ 논란에 3일째 해명한 외교부

입력 2020-03-30 16:19

한국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업체 3곳이 미 식품의약국(FDA) 사전 승인을 받았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가짜뉴스’ 논란을 불 지핀 외교부가 진화에 나섰다. 사전 승인 등 각종 용어를 둘러싼 혼란과 관계없이 승인 업체 3곳의 제품은 곧바로 미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K방역’ 열풍과 함께 진단키트 관련 업체 주가가 이상 과열 현상을 보이는 상황에서 외교부가 설익은 발표를 했다는 비판을 모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30일 비공식 브리핑에서 “미국 측은 ‘(한국 기업에) 사전(Pre) 긴급사용승인(EUA)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잠정(Interim) FDA 승인이 이뤄졌다’고 우리 측에 통보했다”며 “이번 조치에 따라 미국에 바로 수출이 가능한 건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오늘 오전 백악관 측으로부터 조만간 조달 절차가 개시될 것임을 확인 받았다”며 “계약이 체결되고 물량이 준비되면 곧바로 나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지난 28일 보도자료에서 “국내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업체 3곳의 제품이 미 FDA의 긴급사용승인 절차상 사전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미국으로부터 수출 승인 통보를 받았다는 국내 업체가 없었던 데다 ‘사전 승인’이라는 용어부터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때문에 외교부가 FDA 수출 승인 절차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는데 섣부르게 홍보에 나서 혼란만 부추겼다는 비난이 제기됐다.

논란이 이어지자 외교부는 29일 오후 해명자료에서 “미국 측으로부터 외교경로를 통해 미 FDA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한 국내 업체 3곳의 진단키트 제품이 잠정 FDA 승인을 받았으므로 미국 수출에 문제가 없다고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날 배포했던 자료에 있었던 ‘사전 승인’이라는 표현이 사라지고 ‘잠정 승인’으로 대체되면서 외교부의 의도와 무관하게 새로운 논란만 추가로 불거졌다. 외교부가 ‘말 바꾸기’를 했다는 것이다.

결국 외교부 당국자가 해명 브리핑을 자청했다. 그는 용어를 둘러싼 혼란과 관련해 “사전(Pre)이냐 잠정(Interim)이냐 논란이 있는데 미국 측이 우리 측에 전달한 문건에는 두 표현이 모두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번 결정으로 미국 수출이 가능한 건지, 아니면 절차상 진전일 뿐인데 (외교부가) 이를 부풀린 건지가 핵심일 것”이라며 “이번 조치로 (국산 진단키트를) 미국 시장으로 바로 수출할 수 있는 건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통상 FDA의 승인 절차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는 비상 상황임을 고려해 잠정 승인만으로도 정식 승인에 상응하는 효력을 발휘토록 예외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외교부는 이런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않은 데다 해당 업체에도 이런 내용을 통보하지 않아 혼선이 일어났다. 이미 일부 업체가 FDA 승인 없이도 미국에 키트를 잘 수출하고 있었는데 외교부가 엉뚱한 발표를 했다는 비난도 나왔다.

외교부는 FDA의 승인은 미 연방정부 차원의 절차로서 일부 연구소와 주에서 제한적으로 내려지던 허가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코로나19) 상황이 위중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규제를 완화해 기관 책임 하에 특정 조건에서 한시적으로 사용토록 했지만 연방정부 전체 차원에서 제대로 진출하려면 이번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