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코로나 불황’ 건설 경기 활성화로 뚫는다

입력 2020-03-30 15:39

부산시가 코로나19로 인해 시중 돈이 돌지 않는 이른바 ‘돈맥경화’ 현상이 가속하자 경제 절벽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건설 경기 활성화에 나선다.

부산시는 경제 파급효과가 큰 건설업 분야 활성화를 통해 침체한 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2020년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건설업은 고용을 비롯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코로나19로 직격탄을 입은 민생 경제를 살리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시는 우선 2조3357억원 규모의 관급공사를 조기 발주한다. 올해 부산지역 관급공사는 시를 비롯해 구·군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증가하고 부산항만공사, 한수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수자원공사 등 공기업 신규 발주가 늘면서 지난해 1조6520억원과 비교해 6837억원이 증가했다. 시는 관급공사 발주 계획 등을 토대로, 지역건설업체와 상생발전, 일감확보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규제 완화도 추진한다. 공공기관 투자 촉진과 민간투자 확대를 위해 자연녹지 내 건축물 용도 완화 등 규제를 완화하고 2년이 필요하던 사전협상형 지구단위계획 소요기간을 1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 또 도시재개발이나 재건축 등 민간 건축사업에 대한 각종 심의를 올 하반기까지 한시적으로 탄력 적용하는 등 민간사업이 원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문건설사 20곳, 기계설비업체 5곳 등을 대상으로 기업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지역 우수 전문건설업체가 건설 대기업의 협력업체에 등록되도록 지원한다. 원·하도급자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업체 하도급, 지역 자재 및 장비사용 제고를 통한 상생협력을 강화한다. 건설사업 지역업체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제를 적극 시행한다.

아울러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 의무 시행, 하도급계약 적정성 심사 강화 등 행정체계도 구축해 공정거래 질서 확립에도 노력한다. 지역 제한 입찰제도, 지역 의무 공동도급 제도, 주계약자 공동도급제도 등을 통해 지역 건설주수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지역 건설업체의 역량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