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등 여성을 협박해 찍은 성착취 동영상이 공유된 텔레그램 ‘박사방’ 회원들에 대한 경찰 수사망이 좁혀지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안전과는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박사방 유·무료 회원 1만5000여명의 닉네임을 확보했다”고 30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방이 없어졌다가 수차례 재개설된 것을 포함해 현재까지 이 정도로 추산됐다”며 “다만 닉네임을 바꿔 가면서 오갔던 사람들도 있을 것으로 봐서 딱 1만5000여명이라고 단정할 순 없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지난해 9월부터 박사방 관련 수사를 하며 대화방에 참여했던 닉네임 정보를 하나씩 파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를 토대로 개별 인적사항을 특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유료회원 일부가 특정돼 강제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박사방 외에 성 착취물이 공유된) 또 다른 대화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수사를 계속 진행 중이다. 범죄 사실이 특정되는 대로 입건 등 수사 절차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박사방 운영자인 조씨의 거주지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확보한 휴대전화 9대 등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조사 결과 휴대전화 중 7대는 명의가 이미 해지됐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었고 나머지 2대 중 1대는 조씨가 소지하고 있었다. 다른 1대는 집에 숨겨둔 것을 경찰이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디지털 증거 약 20여점을 압수했고 이 가운데 휴대전화 7대는 분석을 완료했다”며 “나머지 2대는 진행 중인데 (잠금 상태가) 풀리면 유의미한 자료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씨는 자신의 범죄 사실은 일체 시인했지만 휴대전화를 열 수 있는 암호에 대해서는 진술을 안 한 상황”이라면서 “여러 방법으로 잠금 상태를 풀려고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조씨의 범죄 수익과 관련해서는 “자기 소유의 차량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고 임대 주택에 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호화생활을 한 것처럼 보이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조씨의 추가 범죄 사실을 찾는 데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에 확인된 공범 외에도 대화방 내에서 성착취물을 공유하거나 조씨의 범행에 가담한 이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