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 결정, 곧 이뤄질 것” 강조
뉴욕주지사 “강제격리,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대통령이 강제격리 명령 내릴 권한 있는지 불분명
미국 확진자 11만명 넘어…뉴욕·뉴저지가 1·2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3대 ‘핫 스팟’(Hot spot·집중발병지역)인 뉴욕·뉴저지·코네티컷에 대해 단기간 강제격리 명령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강제격리 명령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여행제한 조치”를 거론했다.
하지만 민주당 소속의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미국 법적으로 대통령이 각 주에 대해 여행제한 조치를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특정한 조치들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부 사람들은 그곳(뉴욕)이 ‘핫 스팟’이기 때문에 뉴욕에 대한 격리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CNN방송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그것(강제격리)을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짧은 기간, 뉴욕에 대해 2주, 아마 뉴저지, 코네티컷의 특정지역에 대해 오늘 그것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플로리다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많은 뉴요커들이 (플로리다로) 내려가기 있는데, 우리는 이런 상황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코로나19 사태 지원을 위해 뉴욕으로 출항하는 미 해군 병원선 ‘컴포트’ 호의 출항식에서도 “나는 그것(강제격리)을 하기를 원치 않지만 우리는 그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배송을 하거나 단순 경유 등 뉴욕에서 나오는 트럭 운전사 등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무역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도 “나는 ‘핫 스팟’으로 전개되는 뉴욕·뉴저지·코네티컷에 대한 격리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 결정은, 어떻게 해서든, 곧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강제격리 문제와 관련해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주지사 등과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그러나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강제격리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기자회견을 갖고 “나는 그것(강제격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의학적 관점에서 강제격리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법적으로 격리조치가 강제적으로 취해질 수 있는지를 따졌다. AP통신은 연방정부가 각 주에 대해 그런 제한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는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헌법상 공공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권한과 책임은 주 정부에 있다는 것이다.
AP통신은 연방정부는 법에 따라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여행제한 조치를 내릴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뉴욕주와 뉴저지주에서는 이미 외출 금지를 의미하는 자택 대피 명령이 내려진 상태다. 플로리다주는 뉴욕주와 뉴저지주에서 온 사람들에 대해 2주간 자가격리 조치를 취하고 있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1만명을 넘어섰다. 존스홉킨스대학은 이날 코로나19 환자가 11만 554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망자 수는 사망자는 1891명이다.
CNN은 뉴욕주의 확진자 수가 5만 2318명으로, 미국 내에서 압도적으로 많다고 전했다. 뉴저지주가 8825명으로 2위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