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중국 정부가 지난 26일 사전 통보없이 비자·거류허가를 가진 외국인에 대한 입국금지 조치를 발표한 것과 관련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2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제 갑작스러운 발표가 있었다”며 “사전 통보를 받지 못한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무엇보다 국민 피해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기본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상황을 급히 파악할 필요가 있어서 주중대사관, 총영사관에 우리 국민에 어떤 영향이 예상되는지 관련 현지 분석 등을 보고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조치가 한국 등 특정 국가가 아니라 전 세계 국가 대상이기에 대응 조치에 대해서는 고심 중이라고 했다. 그는 “중국 조치의 성격과 기존 한국 측의 조치 등을 고려해 대응 강도를 조절하겠다”고 했다.
다만 중국에 대한 입국 금지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당장 전면적 입국 금지를 해야 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안다”면서 “종합적으로 여러 측면을 관계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매일 회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김건 차관보가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싱 대사는 외교부에 들어서며 기자들과 만나 "중한간에 왕래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끊어지지 않았다"며 "한국 분들이 필요하면 우리 공관, 총영사관에서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계속 도와드리겠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