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교 개학 시점과 방식은 이번 주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좌우될 전망이다. 국내 확진자 발생 상황뿐 아니라 해외 유입 위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면적인 ‘온라인 개학’을 포함해 다양한 개학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으며, 빠르면 오는 30일(월요일)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27일 “앞선 세 차례 개학 연기 때는 코로나19가 급속하게 번지는 상황이어서 결정이 어렵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고려할 요소가 너무 많아 결정하기 쉽지 않다”며 “이번 주말과 다음 주 초 상황까지 지켜보고 (개학 여부를) 30일 혹은 31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개학일은 당초 2일에서 9일, 다시 23일, 또 다시 다음달 6일로 세 차례 미뤄졌다. 다음 달 6일 개학하려면 학교 현장의 준비를 고려해 다음 주 초에는 확정·발표해야 한다.
현재 교육부에선 전면적인 등교 개학(교실수업)은 어렵다는 기류가 강하다. 주말 동안 코로나19 상황이 급격하게 호전되지 않으면 고려되지 않을 전망이다. 초·중·고 학생 수백만명이 등교해 학교에서 집단생활을 시작하고, 학원에 재집결하는 상황을 부담스러워 한다. 학생들이 무증상인 상태에서 가정과 지역사회에 확산시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보건당국과 교육당국이 “다음 달 6일 개학은 유동적”이라고 얘기하는 이유다.
그래서 원격 수업을 정규 수업으로 인정하는 ‘온라인 개학’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확정해 시·도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내려 보냈다. 원격 수업을 시행할 때 출석과 평가를 어떻게 할지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이다. 온라인 개학을 위한 준비작업에 본격 착수한 것이다. 다음 주에는 원격 수업 시범학교도 운영한다.
교육부는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에서 원격 수업을 네 종류로 구분했다. 실시간 쌍방형 수업은 실시간 원격교육 플랫폼을 토대로 교사와 학생이 화상 수업을 실시하며 실시간 토론 및 소통을 하는 방식이다.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은 학생은 지정된 녹화 강의나 학습콘텐츠로 공부하고 교사는 학습 진행도를 확인하고 피드백하는 방식이다.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은 교사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과제를 제시하고 피드백한다. 그 밖에 시·도교육청과 학교들이 다른 방식으로 원격 수업 방식을 정할 수 있다.
핵심은 출석과 평가다. 출결 처리 업무는 학교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처리하거나 수업 이후 처리할 수 있다. 실시간 확인의 경우 학습관리시스템, 문자메시지, 유선 통화 등이 활용된다. 사후 확인은 학습 결과 보고서 학부모 확인서 등 증빙 자료를 활용한다.
평가는 교실 수업이 재개된 후 원격·출석 수업의 학습 내용을 토대로 시행한다. 원격 수업으로 공부한 내용을 교실 수업이 이뤄진 이후 평가하란 것이다. 다만 실시간 관찰이 가능한 쌍방형 수업에 한정해 원격 수업에서 수행평가가 가능하도록 열어놨다. 이 경우에도 교사는 외부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부모 찬스’가 가능한 과제형 수행평가는 원격 수업에선 하지 않도록 했다.
관건은 온라인 개학의 수준과 범위다. 먼저 전국의 모든 초·중·고교가 전면적으로 온라인 개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학교·지역 감염 가능성은 차단할 수 있지만 원격 수업의 질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실시간 쌍방형 수업의 경우 수행평가와 학생부 기록이 가능해 형평성 논란이나 교육 격차 확대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원격 수업 준비를 위해 개학이 좀더 미뤄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 온라인 개학 시점을 못 박은 뒤 1~2주 원격 수업 준비 시간을 주는 방안이다.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은 지역은 원격 수업, 낮은 지역은 교실 수업을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지역별 형평성 문제와 교육 격차 문제가 불거질 우려가 있다. 학교급(초·중·고) 혹은 학년별로 온라인 개학과 등교 개학을 섞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등교 개학을 미루고 온라인으로 하되 고교는 정상 개학하는 방식이다. 입시를 앞둔 고3 학생만 등교하고 나머지는 원격 수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지역 상황과 학교급 혹은 학년별 맞춤형 접근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