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폭(18.5)만 보면 통계 작성 이래 최대폭
코로나19 영향에 소비심리 큰 폭 위축된 영향
정부 돈 푼다지만 향후 소비심리 반전은 미지수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불러 온 가계 사정 악화와 ‘사회적 거리 두기’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은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전달 대비 18.5포인트 급락한 78.4라고 27일 밝혔다. CCSI는 소비자심리를 보여 주는 대표적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반대의 경우 비관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수치나 낙폭 모두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에 해당한다. 지수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두드러졌던 2009년 3월(72.8)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낙폭은 역대 가장 큰 하강 곡선을 그렸다. 그만큼 소비심리가 급속도로 위축됐다는 것이다.
세부적인 수치를 봐도 부정적인 인식이 짙게 나타난다.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현재경기판단’은 전달(66) 대비 28포인트 급락한 38을 기록했다. 역시 2009년 3월(34) 이후 최저치다. 경기가 회복될 거라는 기대도 낮다. ‘향후경기전망’은 전달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62에 그쳤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감도 부정적이다. 청년층을 비롯한 소비자들의 ‘취업기회전망’은 17포인트 급락한 64에 그쳤다. 향후 임금수준을 어떻게 보냐는 조사에서도 2008년 관련 통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각종 소비자 관련 수치의 급락은 코로나19 확산 현상과 궤를 같이 한다. 코로나19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면서 국내외 부정적인 경제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향후 가계 수익을 부정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 인식이 조성되는 것이다. 소비를 부르는 외출길이 막힌 점 역시 한 축을 차지한다. 감염 우려에 나들이를 비롯한 야외 활동이 큰 폭으로 위축됐다. 생필품을 제외한 소비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는 현 상황의 반전을 위해 각종 소비 활성화 대책을 내놨지만 인식이 변화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코로나19 극복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통해 소비 진작 정책을 발표했다. 전통시장 소비 지원을 위한 지역사랑 상품권을 6조원 규모로 발행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지자체는 현금 살포에 가까운 ‘재난 수당’을 동원하고 나섰다. 전 도민에게 10만원씩을 지급하기로 한 경기도가 대표적이다. 각종 대책이 쏟아지지만 소비자들의 인식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 향후 소비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소비지출전망’은 전달 대비 13포인트 급락한 93에 그쳤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