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까지 대폭락을 거듭했던 미국 뉴욕증시가 이번 주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악의 실업난에도 불구하고 지난 사흘간 약 20%의 상승세를 보인 다우지수는 1931년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현지시각으로 26일 지난주 신규실업 수당 청구 건수가 폭증하면서 코로나19 여파로 ‘실업대란’이 현실화했다는 평가 속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전날 상원을 통과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사흘째 연속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351.62포인트(6.38%) 뛴 2만2552.17을 기록했다. S&P 500지수는 154.51포인트(6.24%) 오른 2630.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13.24포인트(5.60%) 상승한 7797.54에 각각 장을 마쳤다.
미 상원이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2조2000억 달러(약 27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가결했다. 경기부양 패키지는 27일 하원 표결을 통과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곧바로 발효될 예정이다.
미 노동부는 3월 셋째 주(15~21일)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328만3000건으로 집계됐다고 이날 밝혔다. 2차 오일쇼크 당시인 지난 1982년 세워진 종전 기록 69만5000건을 훌쩍 뛰어넘는 역대 최대치다. 다만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400만건에 달할 것이라는 일각의 전망보다는 낮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뉴욕증시는 코로나19 사태로 경기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크게 부각되면서 최근 폭락을 거듭하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경기부양책 통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다우지수와 S&P 500지수는 24일부터 이날까지 사흘 연속 상승했다. 다만 나스닥지수는 전날 0.45% 하락했다.
특히 다우지수는 지난 24일 2112.98포인트(11.37%)나 폭등해 87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사흘간 약 20%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미 CNBC 방송은 다우지수는 1931년 이후 처음으로 ‘사흘 상승’ 기준으로 최대폭의 상승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CNBC는 “이같은 변동을 납득할 만한 설명을 찾긴 힘들다”면서도 “다만 코로나19로 인한 최악의 시장 피해는 끝난 게 아닌가는 추측이 나온다”고 전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