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 중인 ‘온라인 개학’을 관통하는 우려는 교육 격차 확대다. 집에서 원격 수업으로 들은 내용을 ‘배운 것’으로 간주하므로 현재 학교별로 운영 중인 온라인 학습과는 차원이 다르다. 초유의 온라인 개학으로 예상되는 부작용을 ‘초등학교 저학년’ ‘사교육 의존도’ ‘교육 소외계층’ 문제로 요약해봤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개학으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초등 저학년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는데 아직 학부모들이 고개를 끄떡일 해법을 찾지 못한 모습이다.
교육부는 그동안 초등 저학년부터 교육 격차가 시작되는 부분에 특히 주목해 왔다. 올해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1번 과제로 제시한 ‘학부모 안심학년제’가 나온 배경이다. 안심학년제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필 잡는 법부터 꼼꼼하게 지도해 기초학력을 잘 다지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교사들도 낯설어 하는 원격 수업으로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긴 어렵다. 학부모가 원격 수업에 참여하면 가능하지만 맞벌이 학부모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학교에 어느 정도 적응한 초등 3학년도 녹록치 않다. 다수 교육 전문가들은 영어 정규수업이 시작되고 수학에서 분수를 접하는 초등 3학년을 학력 격차가 본격화되는 분기점으로 진단하고 있다.
사교육비는 모든 학교급(초·중·고)과 학년에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재인정부 들어 입시 제도의 불확실성이 증폭돼 사교육비가 치솟았다. 코로나19에 따른 공교육 파행은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급조된 원격 수업의 구멍은 사교육으로 메울 수밖에 없어 보인다. 교육부는 부랴부랴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만들어 일선 학교에 배포할 준비를 하고 있는데 사교육 업체들은 이미 관련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공교육이 사교육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고교생의 경우 대입이 목전에 와있어 사교육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 소외계층 문제도 간과해선 곤란하다.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장애수준과 유형별로 맞춤형 대책이 나와야 한다. 장애학생은 특수학교에만 있는 게 아니라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기도 한다. 교육부는 교사들이 장애학생 가정을 방문하는 순회교육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한정된 특수교사 인력으로 양질의 교육을 장담하긴 어려운 게 현실이다.
교사 한 사람이 가르치는 학생 수는 대면 수업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였다. 원격 수업의 경우 교사 역량에 따라 더욱 결정적인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한 학급에 30명이 넘는 신도시 과밀학급의 경우 쌍방향 원격 수업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도 있다. 사교육 접근성이 좋은 대도시와 그렇지 못한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불가피한 측면은 이해하지만 학교 현장과 소통이 부족한 상태인데 온라인 개학이 어떤 부작용을 일으킬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