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국내 유행이 17개 시·도 중 대구·경북과 수도권에 쏠리는 모양새다. 나머지 시·도는 잠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이 두 지역을 집중 관리한다면 코로나19의 유행범위를 대폭 좁힐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6일 0시 기준으로 신규확진자가 104명 늘어 코로나19 확진자가 총 924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증가세로 보면 전국적인 산발적 감염은 어느 정도 통제가 됐고, 대구·경북과 수도권이 유행을 주도하는 양상이다. 104명 중 대구·경북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경기도·인천 등 수도권이 28명이었다. 부산 광주 울산 세종 강원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등 9개 시·도는 확진자가 없었다.
특히 광주·전북은 23일부터 이날까지 4일간 신규확진자가 한 명도 없었다. 나머지 시·도들도 이 기간에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평균 2.4명에 그쳤다. 같은 기간 대구·경북은 115명, 수도권은 10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브리핑에서 “대구·경북은 기존에 집단감염이 있었던 요양원에서 추가 확진자가 나오는 등 예전에 발생한 집단감염의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 반장은 수도권 신규확진자에 대해선 “외국에서 입국하는 사람의 50~70%는 서울·경기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입국자 수는 앞으로 1~2주 동안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37.5%는 해외 유입 사례였다.
국소적인 유행과 더불어 완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신천지 중심의 대규모 집단감염이 일어난지 한 달이 넘어가면서 이날 격리해제자는 4144명(44.8%)에 달했다. 하지만 완치자 중에서 재감염 사례가 종종 발생하면서 이들의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구에서는 50대 남성이 음성 판정을 받고 12일 격리 해제됐으나 6일 뒤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가 24일 사망했다. 방역 당국이 정확한 사망 과정을 조사 중이지만 전문가들도 퇴원 후 재감염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격리해제 후 2~3주간 자가격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백재중 녹색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유전자 증폭(PCR) 검사에서 음성이란 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박멸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기계에서 측정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체내 바이러스량이 떨어져 있다는 걸 말한다”며 “면역력이 낮은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는 바이러스 활성화를 억제하지 못해 음성 판정 이후에도 양성으로 뒤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의료계에선 감염 후 13~14일이 돼야 항체가 본격적으로 생긴다고 보고 있는데 그 이전에 몸속에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면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방역 당국 차원의 완치자 관리 대책은 아직 없다. 다만 개인 스스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위생 수칙을 지키도록 당부하고 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면역력이 많이 떨어지면 충분한 항체 방어력이 형성되지 않아 다시 양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전체적인 코로나19 방역에 있어서 큰 반향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다”며 “재격리 사례가 더 늘어나는지, 잠복 기간(14일)이나 자가격리 해제 기간(발병 후 21일) 변경 등을 고려해야 하는지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최예슬 최지웅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