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단, 친환경 철도건설로 신기후체제 대응 앞장선다

입력 2020-03-26 15:42
교통분야 최초로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으로 인정받은 호남고속철도 전경. 한국철도시설공단 제공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친환경 철도 건설을 바탕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등 신기후체제 대응에 나섰다.

26일 철도공단에 따르면 공단이 수행한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이 지난해 7월 교통 분야 최초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으로 승인받았다.

‘배출권거래제’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권의 부족분·초과분을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며,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은 거래제 대상이 아닌 기업·기관 등이 정부 인증을 받아 온실가스 감축량을 매매하는 사업이다.

2015년 개통한 호남고속철도는 현재 연간 2000만 명이 이용하는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철도는 자가용·버스 등의 교통수단에 비해 수송인원이 많을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 때문에 호남고속철도가 운행을 시작한 2015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약 87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으로 철도공단은 추산하고 있다.

매년 20만t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발생하는 만큼, 호남고속철도는 배출권거래제 인증 유효기간인 2025년 4월까지 총 72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바탕으로 수서고속철도 등 다른 고속철도 사업에서도 온실가스 외부사업의 원활한 추진이 가능할 전망이다.

광주차량기지 검수고 지붕에 설치된 태양열 패널. 한국철도시설공단 제공

철도공단은 수송부문뿐 아니라 공공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에도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공단은 온실가스 배출원과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통계 시스템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청사 내 에너지 진단·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고효율 LED 조명 교체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해 10월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평가다.

일례로 한국서부발전은 노후화 된 군포변전소 부지에 10Kw규모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 내년 1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발전소가 건설되면 인근 3300여가구의 전력 공급뿐 아니라 63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돼 지역경제에도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공단은 이밖에 지난해 83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군포변전소·금정구분소의 낡은 설비를 전면 통합했다.

변전소 통합으로 설비 용량이 60MVA에서 90MVA로 늘며 안양·수원·과천·인천 등 수도권 서남부 지역 전철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김상균 철도공단 이사장은 “철도는 전 세계에서 각광받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며 “지속적인 철도 건설사업을 바탕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사업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