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대기업에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는 27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여파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대기업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산업과 기업의 구조조정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는 2016년 조선업 구조조정 문제를 다루려고 신설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여파로 자금난에 허덕이는 대기업에 대한 긴급 유동성 공급 방안이 논의된다.
회의에서는 수주 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겪는 두산중공업 지원 방안이 안건으로 다뤄진다. 두산중공업은 당장 4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채권을 대출로 전환해달라고 지급 보증을 한 수출입은행에 요청한 상태다.
항공업에 대한 지원도 검토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부분 하늘길이 끊긴 데다 남은 노선도 여객 수요가 급감하고 환불 요청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일단 저비용항공사(LCC) 금융지원 자금 3000억원 가운데 400억원을 지원했다.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6조7000억원)과 회사채 신속인수제도(2조2000억원) 등도 대기업과 중견기업 지원 대책이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힘든 기업의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해 기업이 직접금융 시장에서 저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는 만기 도래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들이 사모 방식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면 산업은행이 80%를 인수해 기업의 상환 리스크를 줄여 주는 것을 말한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