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들이 평균 20억원에 육박하는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검찰총장은 지난해에 이어 법무부와 검찰에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관보에 공개한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법무부와 대검찰청의 재산공개 대상자 41명의 평균재산은 19억600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평균 20억1600만원에 비해 1억원 가량 감소한 것이다. 다만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인 13억300만원보다는 약 6억원이 높았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이는 윤 총장이다. 그는 66억8388만원을 신고했다. 보유한 부동산과 본인·부인 명의의 예금이 증가하면서 재산이 지난해보다 9311만원 늘었다. 윤 총장은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 중 열 번째로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윤 총장의 사법연수원 한 기수 선배인 양부남 부산고검장이었다. 그는 지난해보다 6억1600만원 늘어난 63억5235만원을 신고했다. 양 고검장의 경우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 가격이 3억원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15억6446만원을 신고했다. 노정연 전주지검장, 문찬석 광주지검장, 이용구 법무실장 등도 40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했다.
가장 적은 재산을 보유한 법무·검찰 간부는 1조원 이상의 피해를 낳은 라임 사태의 수사를 총괄하는 송삼현 서울남부지검장으로 6428만원을 신고했다. 송 지검장의 경우 지난해에도 재산 신고액이 가장 적었는데, 올해는 지난해 8370만원보다 1900만원 가까이 감소했다. 송 지검장은 ‘어머니 병원비 및 간병비, 생활비 등 지출’이라고 변동 사유를 밝혔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도 재산공개 대상 공직자들의 재산 변동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법원 고위 공직자들의 평균재산은 약 29억8700만원으로 법무부·검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14억172만원을 신고했다. 김 대법원장의 경우 고지거부 효력이 끝난 장남의 서울 잠원동 아파트 등을 신규 재산 신고하면서 지난해보다 신고액이 4억6323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고위 법관 중에는 원로법관으로 소액재판을 담당하고 있는 의정부지법 김동오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217억3760만원으로 1위, 김용대 서울가정법원장이 169억3270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둘은 전년보다 각각 10억9730만원, 14억4058만원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헌재에서는 이미선 재판관의 재산이 49억130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박종보 헌법재판연구원장이 30억8673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유남석 헌재 소장은 지난해보다 5억4502만원 늘어난 26억7518만원을 신고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