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이 비정형 건축물의 효율성을 높일 스마트 건설 기술을 개발했다. 비정형 건축물은 직선이 반복되는 일반 건축과 달리 곡면과 유선형이 많아 거푸집 제작과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새로운 기술은 비정형 건축물 제작을 위한 위한 거푸집 설치와 균열 보강방식을 개선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3D프린팅 기법과 로봇제작기술로 비정형 건축물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고 25일 밝혔다. 3D프린팅 기술로 구조물 형상에 따라 철근을 비정형 형태로 적층 제작하고 다관절 로봇이 EPS(스티로폼)를 절삭·가공해 오차를 최소화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 기술로 비정형 건축물을 시공하면 기존 제작 방식보다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오차가 거의 없는 정밀 시공이 가능해 경제성과 고품질을 확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기술 개발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정형 건축 분야의 시공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현대엔지니어링과 삼표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건축 로봇 솔루션 스타트업 BAT가 참여해 로봇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2018년 개발에 착수해 2년 만의 성과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개발을 계기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확대 적용을 위한 후속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4차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기술을 이용하여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고강도 비정형 건축물 제작 역량을 확보했다”며 “개발된 기술을 이용해 비정형 고강도 PC 외장재와 공동주택 문주 특화 시공 등 당사 특화 상품개발 및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