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에 전국 장애인 위한 예술학교 설립 확정

입력 2020-03-25 14:29 수정 2020-03-25 14:51

부산대에 건립을 추진 중인 ‘부산대 사범대학 부설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 설립과 관련해 교육부, 부산시, 환경단체 및 장애인부모단체 등 관련 기관·단체 간 최종 합의를 이뤄졌다.

부산대와 교육부, 부산시, 부산시환경단체, 장애인부모단체 등은 25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 설립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정부서울청사 교육부와 부산시청을 연결해 화상으로 진행한다.

정부서울청사에는 유은혜 교육부 장관과 윤종술 전국 장애인부모연대 회장이, 부산시청에서는 전호환 부산대 총장과 오거돈 부산시장, 김일열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범시민네트워크 회장 등이 참석해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의 원활한 설립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부산대 사범대학 부설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는 당초 신청안과 비교해 2000㎡ 줄어든 1만4000㎡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환경단체가 주장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위치도 금정산 아래쪽으로 내려온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으로 부지의 70% 이상이 공원 부지가 아닌 캠퍼스 내에 자리 잡을 예정이다.

이 특수학교는 사회적 교육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설립을 위해 부산대와 교육부가 2018년 12월 전국 최초로 국립대 부설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설계비 13억6000만원을 확보하면서 개교를 추진 중이다.

정원 138명의 소규모 특수학교로 전국 단위의 장애 학생이 교육받게 될 예술 중·고등학교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 특수학교는 부산대 사범대학과 예술대학의 각종 교육 연구시설 인프라를 활용해 금정산 자연 숲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장애학생과 시민들이 숲과 함께 쉴 수 있는 공존의 방향으로 설립된다.

부산대는 지난해 6월과 9월, 12월, 올 1월에 시민·환경·장애인단체들과 공청회 및 간담회를 개최해 특수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자연환경 보존 방법 등 상생 방안을 마련했다. 교육부와 부산시도 지난해 1월부터 20차례 이상의 업무 회의를 거치는 등 특수학교 설립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노력해 왔다.

처음 지난해 9월 도시관리계획 신청 당시 부산대가 제안한 산성로 인근 부지는 관련 단체 및 기관 간 검토를 거쳐 채택되지 못했지만, 이번에 부산대가 제안한 부지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상호 합의에 이르게 한 최종 부지로 확정되면서 이날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최종 확정된 부지는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 약 1만4000㎡로 현재 공원 및 부산대 순환 버스 차고지로 이용되고 있다. 부산대는 이곳을 부지로 하면서 금정산 장전공원의 보존을 위해 약 1만8000㎡에 해당하는 부지에 대한 공원 구역 지정에 동의한다는 내용을 이번 협약에 포함해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설계는 공모를 통해 친환경 특수학교로 이뤄져 부족한 장애인들의 학습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문화예술 분야의 학습권을 확보하고 장애인들의 문화예술 재능을 사회적 일자리로 연계시킴으로써 국립대의 공적 역할을 이행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산대는 금정산의 환경적 가치 홍보와 자연환경 보호 활동 및 교육을 위한 금정산 생태환경 교육센터 설립 공간을 제공하기로 했다.

부산대 전호환 총장은 “부산대 사범대와 예술대의 각종 교육 시설 인프라를 활용해 장애학생과 시민들이 숲과 함께 배우고 숨 쉬는 공존의 공간으로 태어날 것”이라고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