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신천지 신도, 요양병원·복지시설, 정신병원 종사자에 이어 병원 간병인들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전수조사 대상으로 선택했다. 그동안 병원을 오가며 환자들과 접촉이 많은 간병인들이 방역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기 때문에 이번 선정이 늦은 감이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25일 대구시에 따르면 진단검사 대상은 지역 73개 병원에서 일하는 간병인 2648명이다. 시는 우선 5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057명을 검사한다. 2차 병원 등에서 일하는 1591명은 병원과 협의한 뒤 전수 진단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취약시설 및 집단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면서 간병인은 제외했었다. 앞서 의료연대본부 대구지부는 지난 19일 상급병원인 칠곡 경북대병원 간병사가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을 오가며 간병사,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간병인의 전수조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시도 간병인이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요양병원 종사자 중 간병인의 감염이 6곳 38명으로 병원 내 간병인 그룹도 잠재적인 집단감염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앞서 정신병원 15곳 종사자 등 1008명 중 1006명의 진담검사를 완료했고 검체 결과가 나온 81명은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요양병원·복지시설 종사자와 입원자 3만3256명에 대한 전수조사에서는 22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대구시의 이날 추가 확진자는 14명이다. 10명대 추가 확진자가 나온 것은 사태 초기인 지난달 19일(10명) 이후 처음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