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미 정상은 밤 10시부터 23분간 이뤄진 통화에서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양국을 포함한 국제적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통화에서 코로나19의 국제적 확산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는 한편 이를 극복하기 위한 양국간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또 한·미 간 체결된 통화스와프가 국제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하는 매우 시의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제안으로 이뤄졌다.
양 정상은 특히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오는 26일 개최되는 주요20개국(G20) 특별화상 정상회의에 앞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가 국경을 넘은 팬데믹(대유행)인만큼 각국 차원의 방역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양 정상은 또 최근 북한의 발사체 발사 등 한반도 상황과 역내 안보 문제에 대해서도 폭넓게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면서 지난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고 문 대통령은 이튿날 답장을 보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 코로나19 방역 협조 의사를 전달했다는 사실을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2일 공개하기도 했다. 북‧미 대화 교착과 북한의 연이은 발사체 도발에도 세 정상 간의 친분과 신뢰는 여전한 만큼,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이후 북‧미 대화와 남북 협력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통화를 포함해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총 23차례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나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7일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전화 통화를 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 방안을 협의한 바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