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가 G20에 “과도한 이동제한 실물경제 악영향” 강조한 까닭은

입력 2020-03-24 10:34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인적·물적 이동의 과도한 제한은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24일 기재부에 따르면 홍 부총리는 지난 23일 오후 8시에 열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긴급 화상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경제협력개발기구(OECD)·금융안정위원회(FSB) 등 주요 국제금융기구 대표도 참석했다.

홍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세계보건기구(WHO)·IMF·OECD 등 국제기구를 향해 “인적·물적 이동의 과도한 제한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분석하고, 가능한 국제적 협조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세계 각국이 인적·물적 이동제한 조치를 하고 있지만 이 조치가 장기화되면 내수 위축이 불가피하다. 세계 각국의 내수 경제가 위축되면 무역 의존도가 국내총생산(GDP)의 70% 가까이 되는 한국 경제에도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그는 한국의 방역 대응에 대해서는 “하루 확진자가 100명 내외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 간 방역 경험의 공유와 긴밀한 국제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의 경기 대응과 관련해 “피해 극복 지원과 경기 대응을 위해 모두 82조원 규모의 종합패키지 프로그램을 이미 가동했고, 조만간 상당 규모의 금융안정 패키지를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회의에서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코로나19가 시장과 경제적 여건에 미치는 영향을 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하는 한편 대응을 위한 ‘행동계획’을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이날 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올해 전 세계에 예상되는 경기 침체가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더 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이번주 개최 예정인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 의미 있는 성과물 도출을 위한 사전논의 성격이다. 다음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는 오는 4월 15일 원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