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대학이 온라인강의를 실시하고 있지만 대학생 10명 중 2명은 이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대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학교 대부분이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면 실시는 65.2%, 부분 실시는 31.3%였다.
이런 온라인강의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답하는 대학생은 78.9%에 달했다. ‘강의마다 수업방식, 수업플랫폼이 여러 곳이라 혼란 가중’(20.2%), ‘출결관리가 어려움’(15.7%), ‘서버 다운 빈번함, 접속이 원활하지 않음’(14.2%), ‘교수님 목소리 전달이 잘 안됨’(12.7%), ‘영상이 저화질이라 강의내용, 판서 확인이 어려움’(10.4%) 등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는 다양했다.
특히 가장 많이 꼽힌 불편함 1위는 ‘과제물 대체가 많아졌음’(24.2%)이었다. 전국적인 온라인 강의 전면 시행 그 자체가 전례 없는 일이고, 학교 측에서도 강의 제작 및 준비 일정이 촉박하다보니 자연히 과제물로 학습 평가를 대체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학생들이 꼽은 온라인강의 단점으로는 ‘집중력 저하’(19.1%)가 가장 컸고 ‘접속, 서버 장애·불안정’(16.6%) 및 ‘(강의영상 제작이 급하게 된 경우) 온라인 강의 질 저하’(16.2%)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었다. ‘수업 중 문답, 질의 처리가 어려움’(13.4%) 및 ‘팀 프로젝트 불가’(6.8%) 역시 기존 대면 수업과 비교해 아쉬운 부분으로 꼽혔다. 특히 ‘실습수업은 온라인 강의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기타 답변을 통해 다수 확인됐다.
반대로 장점은 ‘감염 우려를 줄일 방법이므로’(31.6%)가 1위로 가장 큰 지지를 받았다. 이 외에도 ‘등·하교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약’(19.7%), ‘공간의 제약이 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음’(18.4%) 등이 상위에 꼽혔다. 또한 ‘(다시보기, 온라인 교본 등을 통해) 효과적인 복습이 가능함’(14.7%) ‘아르바이트 등 타 업무와 병행 가능’(8.5%), ‘기존 강의 방식이 달라지는 데 전환점이 될 수 있어서’(5.3%) 등 긍정적인 의견도 나왔다.
본 설문조사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실시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22%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