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놓은 ‘무제한 양적완화’도 소용없었다.
23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582.05포인트(3.04%) 하락한 1만8591.93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960포인트 밀리기도 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7.52포인트(2.93%) 내린 2237.40에, 나스닥지수는 18.84포인트(0.27%) 하락한 6860.67에 마감했다.
앞서 연준은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는 양적완화(QE) 정책을 사실상 무제한 실행하기로 했다. 회사채 시장을 중심으로 기업과 가계 신용을 지원하는 신규 대책도 내놨다.
그렇지만 시장 투자자들은 연방정부 경기부양책의 의회 논의에 주목했다. 공화당과 민주당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마련한 경기부양 패키지법안을 놓고 막판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다.
상원은 이날 오후 부양책 패키지 법안 처리를 위한 표결에 들어갈지를 결정할 절차 투표를 했지만 찬성 49표, 반대 46표로 제동이 걸렸다. 전날도 절차 투표가 이뤄졌지만, 찬반이 각각 47표씩 나와 부결된 바 있다
다만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은 연준의 조치에 반응했다. 뉴욕 채권시장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16%포인트 급락한 0.77%를 나타냈다.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기대감으로 채권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채권은 가격과 금리가 반대로 움직인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0.1%가량 소폭 내렸다. 달러화 유동성 우려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유럽 증시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3.79% 떨어진 4993.89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2.10% 하락한 8741.15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3.32% 떨어진 3914.31로 장을 마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