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간을 6개월에서 4개월로 단축했다. 3~6개월이 소요되는 항체 개발 기간을 3주로 줄이면서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23일 웹캐스팅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르면 7월말 인체 투여 과정이 포함된 임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속진단키트는 다음 달이면 시제품이 개발된다.
셀트리온은 서울대병원,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등의 협조로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을 확보해 항체를 찾기 위해 연구해왔다. 24시간 교대 체제로 연구개발진이 투입된 결과, 3주만에 회복환자의 혈액에서 항체 후보군을 구축하고 항원에 결합하는 300종의 항체를 확보했다.
확보된 항체는 중화능 검증법을 통해 2차 후보 항체군 선별작업에 들어갔다. 질병관리본부와 충북대학교가 함께 선별을 마치면 최종 항체 선정 단계에 진입할 예정이다.
유럽의약품청(EMA), 미국 식품의약품국(FDA) 등 해외 허가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글로벌 임상과 해외 공급도 진행할 계획이다. 후보물질 대량생산시설을 이미 확보해 언제든 대규모 인체 임상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질병관리본부의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 사업’에서 우선순위 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민관협력 체계를 갖췄다. 서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 진행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식약처, 질병관리본부 등과 정보를 투명하게 교류하고 협력하는 것”이라며 “협력 관계에서 과거에도 문제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 변이를 대비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확보한 6명의 혈액자원 외에도 추가 혈액자원을 확보해 이달 중 ‘슈퍼 항체’를 선별할 계획이다. 슈퍼 항체는 기존의 코로나19에서 변이가 일어나도 중화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진단키트 시제품 개발도 진행 중이다. 현재 사용 중인 신속진단키트는 여러 코로나 바이러스가 공통적으로 보유한 N단백질을 검출하는 원리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PCR(유전자증폭) 방식으로 다시 한 번 검사해야 한다.
반면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키트는 코로나19에만 존재하는 S단백질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셀트리온은 새로운 진단키트가 PCR 방식과 유사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6시간의 진단 시간을 15~20분으로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서 회장은 “유럽의 많은 나라와 미국 등에서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것은 환자의 감염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상업적 가치와는 별개로 확산세 꺾는데 신속진단키트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고 말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