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고창 이을 ‘부창대교’ 건설 속도감 … 16년 표류 사업 진전되나

입력 2020-03-23 16:46 수정 2020-03-23 18:04
부안군 변산면과 고창군 해리면을 이을 '부창대교' 건설 구간 표시도. 전북도 제공.

전북 부안과 고창을 이을 ‘부창대교’ 건설이 총선과 맞물리며 속도감 있게 전개되고 있다. 그동안 사업성 부족 판정과 부안지역 반대로 표류하던 사업이 16년 만에 큰 진전을 보일지 주목된다.

23일 전북도와 정치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최근 부창대교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관 선정에 들어갔다.

유성엽 민생당 국회의원은 “기획재정부가 부창대교 사업을 일괄 용역대상에 포함시켰다”면서 “올해 용역 작업이 완성되면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예산 활동에 돌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창대교는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와 고창군 해리면 왕촌리를 연결할 다리를 말한다. 전체 7.48㎞ 길이다. 완공 땐 62.5㎞를 우회해야 했던 이동 거리가 7㎞로 줄고 통행시간도 50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해마다 100억원 가까운 운행 비용을 절감하고 부안 변산 국립공원과 고창 선운산지구를 잇는 서해안권 관광벨트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5년 기본설계용역 실시와 2011년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에 포함되고 2012년 박근혜 대통령 지역공약사업에 선정됐다. 하지만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 부족으로 보류됐다.

또 부안군민들의 반대가 커서 물속에 잠겨 있었다. 반면 2012년 착공된 칠산대교(전남 무안∼영광을 잇는 다리)는 지난해 말 개통돼 대조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 부안군수와 지역민들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탄력을 받고 있다.

권익현 군수는 지난 해 말과 최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규현 익산지방국토관리청장을 잇따라 면담하고 부창대교 조기 건설 등 현안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더불어 부안 군민들의 생각도 많이 바뀌어 여론 조사 결과, 68.5%가 부창대교 건설에 대해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김종회 무소속 국회의원이 지난달 부안군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응답자의 39.5%는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부창대교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지역경제 및 일자리창출’(19.2%) ‘물류비용 절감효과’(17.3%) ‘국책사업 추진에 도움’(17.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김종회 의원은 “새만금 개발이 완공되면 1일 약 5만대 화물 물동량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부창대교 건설은 물류비 절감 차원에서 획기적인 사업”이라며 “부산∼거제를 연결하는 가거대교는 연간 4000억원의 물류비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창대교는 내년 중 착공된다면 국비 7879억여원이 투입돼 2027년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도는 다리 이름을 향후 ‘황금노을대교’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