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의 총아’ P2P대출 연체율 15.8%까지↑…‘투자경보’

입력 2020-03-23 16:06

개인 간 거래(P2P) 대출 업체에 대한 투자 주의보가 떴다.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P2P업체들의 부실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때 ‘핀테크 시장의 총아’로 꼽혔던 P2P금융산업이 정체 모드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3일 P2P 대출 투자에 대해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P2P 대출업체의 연체율이 급상승하는 만큼 원금 손실에 유의하라는 취지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으로 P2P대출 연체율은 15.8%다. 지난해말 11.4%에서 지난달 말 14.9%로 높아진데 이어 보름 만에 1% 가까이 올랐다. 현재 P2P 업체는 242곳, 대출잔액은 2조3362억원이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부동산 관련 대출상품을 취급하는 업체의 연체율이 특히 높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부동산 대출상품만 취급하는 16개사의 평균 연체율은 20.9%다. 나머지 28개사(평균 연체율 7.3%)의 3배에 달한다.


특히 최근 들어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 누적 대출 잔액 증가율은 자꾸 떨어지고 있다. 지난달 기준 전월 대비 1.9%를 기록했다. 1월(4.38%)보다 큰 폭 하락했다. 5~6%대 증가율을 유지했던 지난해 평균치와 비교하면 감소폭이 크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이달 이후 대출 증가율이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연체율 증가에 따른 대출 부실화 우려로 P2P금융 업체들이 신규 대출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2P 대출은 원금보장 상품이 아니며, 투자 결과는 모두 투자자에게 귀속된다”면서 “고위험·고수익 상품이므로 투자를 한다면 소액·분산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P2P 업체들이 ‘P2P대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점검할 예정이다. 불건전 영업행위나 사기·횡령 적발 시 수사기관에 통보하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