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인천공항 7만여명 노동자 공항 및 영종국제도시 고용위기지역 지정 요구

입력 2020-03-23 15:3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와 관련, 인천국제공항과 영종국제도시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항공운수전략조직사업단은 23일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초유의 사태가 인천공항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연간 이용객 1억명 수용을 목표로 4단계 확장 계획이 추진되던 인천공항은 일일 이용객이 95%나 줄어든 상황”이라고 다급한 소식을 전했다.

지난해 인천지역 인적자원 개발위원회는 인천공항 종사자 현황 분석을 통해, 응답자 2만5500여명 중 7100여명(27.9%)이 중구에 거주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응답자중 20대가 33.7%, 30대가 28.2%로 집계돼 상당수 인천의 청년들이 일하는 곳으로 파악됐다.

인천공항에는 총 7만여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그 수치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이곳의 일자리와 청년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민간항공 사업장(항공사·조업사·하청사)은 이미 무급휴직을 강요하고, 연차를 강제로 소진시키는 위법지대로 바뀌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19의 여파가 언제까지 갈지 알 길이 없자, 희망퇴직·권고사직, 계약해지 및 해고(정리해고)가 업종을 가리지 않고 속출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항상담소와 공공운수노조가 운영하는 온라인(오픈채팅방) 상담 방에는 연일 위법사항과 고용위기 대응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벌써부터 청년 노동자들은 다음 달 월세를 걱정하는 있는 상황이다.

사업주들은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에 난색을 표하고, 지원받는 휴업수당 외에 비용 부담마저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고용지원 업종에 포함되지 않는 사업장이 파악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 상황이다.

노동자들은 “개항 이후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에 처한 만큼, 한 번도 고려해보지 못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무엇보다 사업주들의 고용유지를 강제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정부는 특별고용지원 업종 범위를 현장 상황에 맞게 확대해야 하고, 인천시는 고용위기지역 지정에 나서고,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인천공항-영종지역 전체업종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내 사업장의 임대료 감면을 실시하고, 감면 받은 사업주와 고용유지에 대한 확약을 선언해야 한다”면서 “국토부가 발표한 항공업 특별 지원 내용은 대부분 사업주의 손실을 보존해주는 데 그치고 있는만큼 일자리가 사라질 상황에 놓인 노동자들에 대한 대책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주도하에, 인천공항공사와 사업주가 임대료 감면-고용유지 확약을 할 수 있도록 추가 대책을 발표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조업사-하청사 뿐만 아니라, 면세점·식음료·숙박업 등 인천공항 상주직원에 대한 한시적 해고금지 조치가 필요하다”면서 “영업 손실을 빌미로 해고와 계약해지가 인천공항 연계 산업 전체로 번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